금리가 하락하면 채권이 상승하는걸로 알고있는데 항상 그런가요?
대부분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이 상승하고 주식도 상승하던데 항상 그런건 아니라고 들었어요
주식이 하락해도 채권은 상승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이 하락하고 채권이 동시에 상승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주식과 채권은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주식이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하락하거나 상승할 수 있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더 위험 회피적이 되어 주식과 채권을 모두 매도하기로 결정하면 두 자산의 가격이 모두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경우 이는 주식과 채권 모두의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식과 채권의 관계는 경제 상황, 시장 정서 및 기타 요인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항상 철저한 조사와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의 방향과 '신규채권 발행금리', '기존발행채권 거래가격', '주식'과의 관계를 정리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금리 상승 - 신규채권 발행금리 상승 - 기존발행채권 거래가격 하락 - 주식 하락
기준금리 하락 - 신규채권 발행금리 하락 - 기존발행채권 거래가격 상승 - 주식 상승
채권의 경우에는 어떤 포인트를 가지고 주식과의 관계를 보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채권이 일반 예금과 달리 '명목금리'와 '실질금리'가 따로 존재하는 이유는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기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채권의 '명목금리'가 하락하면 주식은 상승하고 '실질금리'가 하락하면 주식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은 올라갑니다. 이는 채권의 수익률과 가격은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채권의 수익률은 채권의 발행가격과 현재 수익률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채권 발행 시의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자율이 하락하면 기존 채권의 이자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존 채권의 가격이 상승합니다. 또한, 새로운 채권이 발행될 때에는 이전보다 낮은 이자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기존 채권의 수익률이 높아지면서 이전보다 높은 가격으로 매도됩니다.
즉, 채권의 수익률과 가격은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의 수익률은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기존 채권의 가격도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면, 채권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