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잽싼 달팽이
잽싼 달팽이

문자 링크를 누르기만 해도 진짜 해킹될 가능성이 높을까요?

제 생각에는 문자에서 링크를 누르는것도 결국은 도메인 주소?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하는것과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을 하다보면 광고클릭을 유도한다던가 아니면 일부 사이트에서는 자동으로 리디렉션 되게 만드는경우도 있죠

만약 이때 "문자 링크로 클릭으로 해킹된다" 가 참이라면 여기에 해킹 링크를 넣으면 바로 해킹되니까 인터넷 자체가 위험한건 아닐까요? (인터넷에 보면 가끔 특정 키워드만 들만 적혀있고 (이로 인해 상위로 노출됨) 들어가면 광고만 뜨는 사기 사이트도 있으며 구글은 이를 걸러내지 못하는데 여기에 넣으면 다 해킹당하는거 아닌가요)

문자에 링크를 결국 그냥 검색할때 나오는 웹사이트 주소일 뿐이라고 생각하는데 정말로 위험한게 맞는지 아니면 그냥 우리정부에서 과장한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향기로운딱따구리238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려요 실제 보이스피싱 문자 링크를 클릭해서 몇 백만 원씩 계좌가 팔린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최근에 뉴스에 자주 나왔는데요 그리고 저한테도 실제 그런 해킹 문자가 왔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클릭을 하지 않고 스팸 처리했어요

  • 그것이 알고싶다 sbs 에 몇달전에 나왔습니다. 링크를 누를때 악성코드가 심어지고 그것으로 사용자 모르게 카메라를 킵니다. 그리고 사생활을 녹화하더군요 그알 자주 보세요

  • 문자 링크를 누르기만 해도 해킹될 가능성은 아주 낮지만,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링크를 클릭하는 것만으로는 해킹되지 않지만, 링크가 악성 웹사이트로 연결되어 추가적인 악성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 수 없는 번호나 신뢰할 수 없는 출처에서 온 링크는 클릭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 문자 링크를 누르기만 해도 해킹이 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악성 링크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악성 앱이 설치되어 개인 정보가 유출되거나, 소액 결제가 이루어지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의심스러운 링크는 클릭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링크를 클릭한 후에는 이상한 앱이 설치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스마트폰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문제가 될 소지가 많죠. 해커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정보나 기기에 침투해서 공격할수있는데 그중 제일 흔한게 스미싱입니다. 합법적인 기관이나 업체를 가장하여 링크나 첨부파일을 넣어서 문자를 보내는데요. 그때 이 문자에 응하면 해커들은 개인정보를 훔치거나, 악성코드를 설치하거나, 원격으로 기기를 제어하거나, 금전적인 피해를 입히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