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차량도색 클리어에 희석제 넣는 이유가 있나요?
차량 도색시 보통 클리어에 희석제를 안 넣는걸로 아는데요.
클리어에 희석제 넣는 이유가 있나요?
클리어 제품 설명에 보니까 (주제:경화제:희석제)2:1:0.2 라고 되어있더군요.
0~0.2면 넣지 않던가 아주 약간 넣는정도인듯 한데요.
클리어에 희석제는 넣는 경우는 왜 넣는것이며
클리어에 넣는 희석제는 그냥 우레탄신나 넣어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반드시 클리어 전용 희석제를 넣어야 하는건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2021년부터 모든공업사가 수성 페인트를 쓰도록 되어있습니다. 재고 소진때까지는 유성페인트로 써야하구요
수성페인트는 희석제를 안섞어도되지만 유성페인트는 희석제로 시너를 사용해야합니다.
2021년부터 모든공업사가 수성 페인트를 쓰도록 되어있습니다. 재고 소진때까지는 유성페인트로 써야하구요
수성페인트는 희석제를 안섞어도되지만 유성페인트는 희석제로 시너를 사용해야합니다.
대부분의 페인트는 페인트로만 도색하는게 아니라
그 페인트 특성에 맞게 경화제와 희석제가 들어가야합니다
희석제란 쉽게 말해서 신너를 말하는건데요
신너는 에폭시 신너와 에나멜 신너 크게 두가지 정도를
사용합니다
페인트에 따라 사용하는 신너가 다르니
구매처에 문의하시거나 페인트통에 보시면
어떤 희석제를 써하하는지 기재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경화제와 희석제가 첨가되어야 하는이유는
경화제란 말 그대로 페인트를 굳게 만들어주고
희석제는 이 또한 말 그대로 페인트를 조금 묽게 만들어 주며
빨리 마르게 해주죠
간단하게 답변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