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적공간 부족 시 장기계약과 스팟계약 중 어떤 전략이 유리한가요?
해상운송에서 선적 공간 부족이 발생하면 장기계야고가 스팟 계약 선택이 물류비와 리스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물동량 규모, 시장운임 변동성, 긴급출하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최적의 계약 전략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선적 공간이 부족한 시기에는 물동량이 꾸준하고 예측이 가능한 기업이라면 장기계약으로 안정적인 운임과 공간을 확보하는 편이 유리해 보입니다. 반대로 물량이 들쑥날쑥하거나 단기 시황 변동을 활용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우라면 스팟 계약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해상운임 변동성이 커서 장기계약이라도 일부 물량을 스팟으로 남겨두는 혼합 전략이 안전하며, 긴급 출하 가능성이나 화물 특성을 함께 고려해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해상운임이 급등하거나 선적공간이 부족한 시기엔 선택이 더 복잡해집니다. 장기계약은 안정적으로 일정 공간과 운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장 운임이 급락하면 오히려 높은 단가를 계속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반면 스팟계약은 시세 변동을 활용해 저렴하게 확보할 가능성이 있지만, 경쟁이 치열한 시기에는 공간을 구하기조차 어렵고 운임이 예측 불가하게 오릅니다. 물동량이 꾸준하고 예측 가능한 기업이라면 장기계약이 유리한 경우가 많고, 출하 시점이 불규칙하거나 물량이 적다면 스팟계약으로 유연성을 확보하는 편이 낫습니다. 최근 시장 흐름을 보면 일부 기업은 장기계약을 최소 물량만 체결해 기본 운송을 확보하고, 나머지는 스팟으로 대응하는 혼합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선적공간 부족 시에는 물동량이 크고 출하 일정이 안정적인 기어브이 경우 장기 계약을 통해 운임과 공간에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이 좋겠습니다. 다만 변동성이 큰 시장이나 긴급/단기 출하가 많은 경우 스팟 계약을 통해 운임변동에 대응할 수 있지만 바로 선복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분은 고려대상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물동량이 크고 출하 패턴이 비교적 안정적인 기업의 경우, 시장운임이 급등하더라도 장기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선적 공간과 예측 가능한 운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본 물동량의 60~80% 정도를 장기계약으로 묶는 것이 유리합니다.
반면, 잔여 물동량이나 비정기·긴급 출하 물량은 스팟 시장을 활용하면 시장운임 하락 시 운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적 전략은 기본 안정 물량은 장기계약으로 고정, 변동·긴급 물량은 스팟 계약으로 대응하는 혼합 포트폴리오 방식이며, 이를 위해 시장운임 동향, 항로별 혼잡도, 선사별 신뢰도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필요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 정기적인 물량이 충분히 이싿면 장기계약을 추천드립니다. 스팟계약은 일시적으로 계약을 하기에 게약 시기에 따라 운임변동이 클 수도 있습니다. 다만, 장기계약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요금이 예상가능하기에 기업입장에서 리스크를 줄일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이와 관련된 헷지상품도 같이 운영하시는 경우 운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