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산업쪽으로 육성 정책 시행되는건 뭐가 있나요?
우리나라가 반도체 다음으로 바이오 산업을 키워야한다는 주장들이 있던데 구체적인 육성 정책이 있는건지 또 시행되고 있는걸로는 뭐가 있을지 궁금해요. 신약 개발이나 백신 연구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다거나 어떤 내용이 있는지 또 한 해 예산 규모는 다른 OECD국가들에 비해 어떤 수주닌건가요? 바이오 벤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청년 연구자들에게 기회가 열려 있는지, 해외 인재 유치 정책은 있는지도 궁금해요. 규제 완화가 이뤄졌는지, 임상시험 절차가 간소화됐는지, 신약 허가 기간이 단축됐는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우리나라가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지, 어떤 분야에서 경쟁력이 있는지, 미래 전망을 알고 싶어서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정부는 바이오 헬스 분야에 집중투자하고있고, 약 2조 1천억원전도 됩니다.
주로 임상시험 인프라확대나 지원을해주고, 각종규제절차의 개선이나 산업화 연계가 지원되고있습니다.
창업, 인력측면에서는 경쟁력으로는 바이오의약이나 백신, 임상시험인프라 등에 강점을 갖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나라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반도체 다음의 핵심 동력으로 보고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 등을 추진 중입니다.
그 일환으로 글로벌 신약 창출을 목표로 정부 투자를 늘리고,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 플랫폼 및 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하고 있으며, 나름의 규제를 완화하고 허가 기간을 단축하려 하고 있고, 맞춤형 인제 양성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그 외에도 벤처 창업을 지원하거나 예산 규모를 늘리려 하고 있죠.
향후 환경은 나쁘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여타 경쟁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은 열악한 환경이기는 합니다.
대한민국은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지정하여 R&D 투자 확대, 인력 양성, 규제 합리화, 해외 진출 지원 등을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 지원, 바이오 벤처 창업 및 성장 프로그램 운영,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확충 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성장을 견인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