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

중앙아시아의 어느나라에 고려인들이 살고있는지요?

스탈린의 정책에 의해 일제강점기 시절 연해주에 살고있던 우리 민족이 강제로 그당시에는 소련 영토였던 중앙아시아의 여러지역으로 분산 이주되었는데, 현재 어느나라에 어느정도의 고려인이 살고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지식의 신
    지식의 신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연해주 출신의 많은 한국인들이 분산 이주하였으며 일부는 현재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 많은 고려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 수는 각각 약 170,000명과 100,000명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또

    한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다른 지역에도 일부 고려인들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 고려인들은 대부분 현지 언어와 문화에 적응하며 살고 있으며, 일부는 한국어를 사용하며 한국과 연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앙 아시아의 고려인은 거의 대부분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 거주한다.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문화는 이전의 수도였던 알마티(Almaty)를 중심으로 하는데, 이곳에서는 유일하게 한국어 신문(고려 신문)과 한국어 극장이 운영된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즈스탄,카자흐스탄 등에 고려인의 후손들이 살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탈린의 강제이주 정책으로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기차에 실려졌던 카리아스키(고려인)들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키즈공화국 등에 그 뿌리를 내리고 정착해서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와 국민들이 그들에게 약간의 도움을 주고는 있지만 보다 전폭적으로 지원과 관심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대부분 우즈베키스탄에 약 50~60만 명 정도 살고 있으며,

    주변국에 약간의 고려인이 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