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백화점의 충동구매 유발 구조에 대해; 질문드려요

백화점에가면 꼭 사야할 유제품 등은 꼭 끝에 있죠.

그래서 그걸 사러 가면서 다른 상품을 보게 되고 => 충동구매로 빠지는 경우도 많고 에스컬레이터는 항상 옆으로 아래층의 물건을 내려볼 수 있습니다

또 사람들이 가장 많이 가고 땅값도 가장 비싼 1층에는 그만큼 팔리는 물건도 가장 많기 때문에 화장실을 놓느니 가게 하나 더 놓는게 수익이 더 높다고 화장실도 없구요.

왜 식당가는 맨 끝층에만 있는지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백화점의 충동구매 유발 구조를 이미 알고 계신다고 생각됩니다.

       

      (1) 말씀하신 '꼭 사야할 유제품 등은 꼭 끝에 있다'는 것은 아마도 지하 식료품 매장을 의미하신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 경우 관련된 것으로 'End 매대'라는 것이 있습니다. 카운터 바로 직전에 있는 매대를 의미합니다. 이곳에는 건전지, 초코바, 사탕, 껌 등이 비치됩니다. 또는 그날의 할인판매 상품이 위치합니다. 마지막으로 나가기 전이라 그럭저럭 매력적인 상품이 눈에 보이면 집을 가능성이 많다고 기대합니다. 이미 돌아가서 뭔가 비교하기에는 늦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줄은 서서히 앞으로 나아갑니다. 동시에, 줄이 앞으로 나아가기는 하지만, 그 속도가 매우 늦습니다. 다른 상품을 폭넓게 구경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제한된 상품에 대하여 시선을 주는 시간이 그만큼 길게 됩니다.

       

      (2) 이 외에도 일반 할인 매장, 심지어 수퍼마켓에서 사용하는 진열대 진열 방식 등도 모두 동원합니다. 잘 팔리는 상품을 키 높이에 맞춘다든가, 연관된 상품을 인접하여 전시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3) 시식코너 역시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른 저녁 시간에 맛있는 음식을 시식하게 내 놓으면 매출이 급증한다고 합니다.

       

      (4) 1층에 화장실이 없는 것은 수익성 때문도 있습니다만, 사람들을 위로 올라가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바뀌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만 오랫 동안 백화점 1층은 화장품 및 명품 매장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만, 이것과 화장실의 이미지를 연결시켜서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5) 식당가가 끝층에 있는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사람들을 위로 올라가게 만들기 위해서가 그 하나입니다. 사람들이 위로 올라가면 자연히 밑으로 내려오게 되고, 엘리베이터가 아닌 에스컬레이터로 내려올 경우 자연히 상품 하나라도 더 보고 내려가게 되기 때문입니다. 위층에 상품들이 많은데, 아래층에서 꼭 필요한 상품만 사고 돌아가는 고객들이 많다면 매출이 많이 오르지 않을 것입니다. 다른 이유로는 식당가에서 나오는 냄새가 문제가 될 것이고, 또 하나는 식당가의 크기가 백화점 한 층당 면적에 비해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