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에 상장된 국내주식ADR이란 무엇인가요?
국내주식이 미국시장에 ADR로 상장되어있는데 어떤 특징이 있고 배당이나 거래제한, 세제 등에서 국내증시 상장 주식에 비해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ADR은 미국의 자본시장에 접근하고자 하는 비미국 기업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하며
투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발행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상장 주식과 adr의 구체적인 차이점은 찾기어려워 adr 개념위주로 정리했습니다
ADR은 "American Depositary Receipt"의 약자로, 미국에 상장된 외국 기업의 주식을 대표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ADR은 미국의 은행이 외국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이에 상응하는 예금증서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미국 투자자들은 미국 시장에서 외국 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ADR은 주로 미국의 주식시장에 상장된 외국 기업들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외국 기업은 ADR을 통해 미국 시장에 진입하고, 미국 투자자들은 자국 외의 기업에도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ADR은 미국의 유럽주식거래소(LSE),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증권거래소 등에서도 거래될 수 있습니다.
ADR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첫째, "Sponsored ADR"은 외국 기업 자체가 ADR을 발행하고 미국 시장에 상장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둘째, "Unsponsored ADR"은 외국 기업이 직접 발행하지 않고, 제3자가 발행한 ADR로서 미국 시장에 상장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ADR을 보유하면 미국 투자자는 외국 기업의 주식에 투자할 수 있으며, 외국 기업은 미국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ADR은 투자자에게 다양한 국제 투자 기회를 제공하므로 글로벌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