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6.14

하늘에 구름은 왜 생기는건가요??

하늘에 여러가지 구름이 떠있는데 이 구름은 왜 생기는건가요?? 그리고 비를 내리는거말고 구름이 지구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 중의 수분이 이슬점 이하에서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입자로 되어 대기의 고층에 떠 있는 기상현상입니다 공기 중의 수분이 이슬점 이하에서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입자로 되어 대기의 고층에 떠 있는 것이 구름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되는 현상입니다. 구름은 지구의 기후 및 날씨를 조절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구름이 형성되는 과정은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증기 포화: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공기가 포화 상태가 됩니다. 이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이 포화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합니다.

    2. 응결핵: 수증기는 응결핵으로부터 응축됩니다. 응결핵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 진흙, 염화나트륨 등의 입자로서, 이들 입자 위에 수증기 분자가 응결하여 구름의 입자를 형성합니다.

    3. 구름 성장: 응결된 수증기는 계속해서 성장하며,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합니다. 이들이 더 큰 구름 입자로 결합하고, 구름은 계속 성장하여 다양한 모양과 유형의 구름으로 형성됩니다.

    구름은 지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1. 태양 에너지 차단: 구름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반사하여 지구 표면으로 직접적인 태양광의 도달을 제한합니다. 이로써 구름은 지구의 온도 조절에 영향을 미칩니다.

    2. 수증기 보관: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를 보관하고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수증기의 증발과 응축 과정을 통해 지구의 수자원 순환에 기여합니다.

    3. 강수 형성: 구름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성장하여 충분히 무거워져 지면으로 떨어져 강수 현상을 일으킵니다. 이는 비, 눈, 우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기상 예보: 구름의 형태, 높이, 발전 속도 등은 기상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상 예보에 구름의 관찰은 날씨 예측에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되는 것입니다. 공기가 올라갈수록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형성됩니다. 구름은 다양한 모양과 유형을 가지며, 날씨와 대기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의 구름은 지표면의 수증기가 증발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는 태양의 복사열을 걸러주거나 반사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지표면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공기 중으로 올라가면서 찬 공기와 만나 뭉쳐서 생깁니다 구름은 태양의 열을 흡수하여 지구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비와 눈을 내리게 하여 지구의 물 순환을 돕습니다. 또한 구름은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을 걸러내고, 밤에는 열을 방출하여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바다나 큰 호수같은 곳에 태양빛의 열에의해 증발한 수증기가 상공으로 떠오르고, 상공의 차가운공기와 만나 액화되면서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에 의해 생겨요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공기 안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여 생기며 위로 올라갈수록 대기온도가 낮아

    공기포화 수증기량은 작아져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구름은 습기를 머금은 공기 상승과 단열 팽창의 조합으로 만들어집니다.

    지표면의 공기가 상승하면 주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공기 덩어리가 팽창하고 기온은 떨어지며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죠.

    이후 구름은 기류에 따라 위치가 정해지고 그 과정에서 흐르거나 뭉치며 모양이 정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생긴 것입니다. 대기 중에는 항상 수증기가 존재하며, 이 수증기가 공기 중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와 결합하여 구름이 형성됩니다.

    구름이 생기는 과정은 대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다르게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가 상승하면 기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대기의 습도가 높아지면 수증기가 많아지므로 구름이 더욱 많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된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집합체입니다. 이러한 구름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상승하는 동안 차가운 고도로 올라가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됩니다.구름은 지구의 기상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한 기상 요소인 구름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1. 지구의 온도 조절: 구름은 태양으로부터의 복사 에너지를 반사하거나 흡수하여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름이 많으면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를 흩뿌리고 흡수하여 대기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2. 강수 현상: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된 것이므로, 고도가 높아 수증기가 충분히 응결되면 비 또는 눈과 같은 강수 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드리면...

    바다나 땅에 있는 물이나 수분이 수증기가 되어 위로 올라갑니다

    또한, 수증기가 모이고 부피가 커지게되고 이떄, 이슬점은 점점 올라가게 되죠

    고도가 어느 정도 올라가면 기온지 낮아지면서 서로 엉켜 붙어 작은 물방울(이슬처럼)이 되는거죠..ㅎㅎ

    이렇게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서 우리 눈에는 구름으로 보이는 것이랍니다.

    도움이 되셨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