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의 부작용은?
화이자백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왜 유럽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백신 접종을 회피하나요? 도대체 어떤 심각한 부작용이 있길래 접종을 거부하나요? 한국인에게 일어날 수 있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바이러스전달체(벡터)백신이고, 냉장보관
화이자백신은 메신저 리보헥산(mRNA) 백신입니다.(냉동보관)
플랫폼이 다르다고 보시면 되구요
부작용은 아직까지 계속 모니터링 되고 있고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사망까지도 나오고 있고, 아낙필락시스나 여러 부작용들이 보고 되고 있습니다.
허가된지 오래된약이 아니라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점 감안해야될듯하구요,
자료가 쌓이려면 시간이 걸릴듯합니다.
그리고 부작용율이 높지 않기에 허가가 난것이니 너무 두려워하실필요는 없으나,
기저질환이 있거나 특별히 걱정되는 부분이 있으시면 접종전 충분히 전문가와 상담후 맞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화이자백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화이자는 mrna백신(90%) 아스트라제네카 는 바이러스 백터백신입니다(효과가 70% 수준)
왜 유럽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백신 접종을 회피하나요? 도대체 어떤 심각한 부작용이 있길래 접종을 거부하나요? 한국인에게 일어날 수 있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궁금합니다.
☆☆ 둘다 장단점은 있눈데 특이체질만,아니면 접종,부작용 걱정 말고 안심해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 관련하여 문의주셨습니다.
이제 막 개발 된 백신이며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효과가 얼마나 될지, 어떤 부작용이 나올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변종 코로나에 대한 추가적인 접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당단백질 백신이 아닌 mRNA 백신의 경우 기존에 우리가 맞던 독감과 같은 예방접종과 다르기 때문에 그 부작용이나 효과를 예측하기가 더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어도 상당기간 마스크 착용과 손씻는 것과 같은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셔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아래 자료는 임상실험이후 나타난 각 백신별 부작용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아스트로제네카
-접종 부위 통증(84.1%)
-피로감(62.9%)
-두통(55.1%)
-근육통(38.3%)
-오한(31.9%)
-관절통(23.6%)
-발열(14.2%)
-접종 부위 부기(10.5%)
-접종 부위 발적(9.5%)
-오심(1.1%)
-권태감(0.5%)
-임파선염(0.3%)
** 얀센
-접종 부위 통증(92.0%)
-피로감(70.0%)
-두통(64.7%)
-근육통(61.5%)
-관절통(46.4%)
-오한(45.4%)
-오심/구토(23.0%)
- 겨드랑이 부기 및 압통(19.8%)
-발열(15.5%)
-접종 부위 부종(14.7%)
-접종 부위 홍반(10.0%)
** 화이자
-접종 부위 압통(>60%)
-접종 부위 통증, 두통, 피로감(>50%)
-근육통, 권태감(>40%)
-발열, 오한(>30%)
-관절통, 오심(>20%)
참고) 1차 접종과 비교하여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은 발생 빈도가 적고 더 경증으로 알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