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의 저축률은 어느 정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하루하루 살아가느라 저축은 꿈도 꾸지 못하는 현실인데요.
우리나라 가계에서는 저축을 어느 정도나 하는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구마다 차이가 크고, 소득 수준, 부채 상황, 생활비 등에 따라 저축률은 달라질 수 있어서 일관된 답변은 드리긴 어렵구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가계 저축률은 대략 30% 내외로, 소득의 20~30%를 저축하는 경향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한국 가계의 저축률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가계 저축률은 약 4%로 지난 10년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인플레이션과 높은 이자율로 가계가 필수 생활비와 대출 상환에 더 많은 돈을 쓰게 되면서 저축할 여력이 줄어든 결과입니다. 특히, 가계 부채가 증가하면서 많은 가정이 저축보다는 생활비 충당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저축률은 세금과 이자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모든 소득 가운데 소비 지출에 쓰고 남은 돈의 비율인데요. 2023년은 4%라고 하고, 2020년은 11.4%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저축율은 36% 정도이고 이는 OECD 평균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가계의 저축률은 코로나 시기에 크게 감소하였다가 최근에 다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인데 최근에 물가상승율이 상승하게 되면서 실질 소득이 감소하게 되고
저축율도 감소할 유인이 생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현재 평균적으로 월 78만원정도 저축하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이것은 평균이지 중위로 본다면 약간 높여서 년에 1,000만원 정도 모으는 게 가장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물가와 경제성장률을 고려한다면 1,000만원을 모으면 의미가 크게 없을 것입니다.
계속해서 화폐가치는 낮아지며 그 이상을 벌어야 하기 떄문이죠.
요즘과 앞으로 한국의 경제를 생각한다면 최소 2,000만원씩은 모아야 하며 이것이 2억 이상이 되면 확실히 돈이 붙는 속도가 달라지실 겁니다.
그렇게 쌓여야 자산소득이 인플레이션 이상으로 모이게 되죠.
그래야 점점 돈이 불어 나는 것이 보이고 삶이 여유로워 지실 겁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률은 매년 변동이 있지만 최근인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의 가계 저축률은 약 10% 내외로 추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계 순 저축률과 같은 경우에는
2020년 11.4%에서 2021년 9.1%, 2022년 6.3%,
2023년 4%대를 보이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가계의 저축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의 저축률은 펜데믹 이전에는 약 7.1퍼센트였지만
펜데믹 이후로는 약 10.7퍼센트로 많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기준 대한민국 순 저축율은 약 3%대라고
합니다.
순저축율은 한나라의 개인이 벌어들인 소득 중
에서 소비하지 않고 저축한 금액의 비율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가계의 순저축률은 약 4.0% 수준입니다.
순저축률은 가계의 처분 가능한 소득 중에서 저축으로 남긴 비율을 뜻하며, 이는 경제적 여건과 소비 성향에 따라 변동합니다.
전체 저축률(정부와 민간을 포함한 비율)은 33.5%로 기록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