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영악한딩고41
영악한딩고4122.08.15

아이스팩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냉장식품을 집으로 주문하면 아이스팩이 동봉되어서 옵니다.

녹으니까 물렁물렁 해지죠.

아이스팩이 얼리면 딱딱해지고 녹으면 물렁해지는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16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스팩은 고흡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AP라고 명명합니다. SAP의 분자는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고 수산화기나 에스터기같은 친수성작용기를 많이 가지고 있어 물이 이 작용기들과 수소결합으로 매우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SAP는 자신보다 300배 많은 물을 습수 할수 있습니다. 물을 많이 머금고 있어 상온에서는 물렁물렁한 상태가 되고, 얼면 딱딱해 집니다. 또한 압력이나 열을 가해도 물이 분리되지 않습니다. 얼렸을때 수건과 같은 물적신 천보다 5~6배 냉기를 오래 가지고 갈수 있습니다.


  • 물은 0도에서 업니다.

    하지만 물에 혼합물을 가하면 0도보다 낮은 곳에서 얼 수 있어 더 시원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보통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물질을 물과 혼합하는데,

    이 물질 때문에 물렁물렁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스팩의 재질은 나일론과 PE가 합지된 복합 소재였지만 친환경 시대에 한 발 더 다가서고자 재활용이 용이한 PE 단일 재질만 사용된 아이스팩입니다.


    즉, 액체플라스틱이라서 점도가 높아 물렁물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스팩 안에는 사실 얼음이 없습니다.

    열용량이 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물질을 물과 혼합해 얼리면 어는 점이 -10℃ 이하까지 내려갑니다.

    이렇게 응축된 냉기는 일반 얼음보다 더 차갑고 오래 냉기를 유지하게 됩니다.

    흡열반응을 응용한 아이스팩은 두 화학 물질의 반응을 통해 온도 하강을 유도합니다.

    여기서 아이스팩을 얼리면, 두 화학 물질이 고체가 되어 딱딱해지고,

    녹으면 냉기를 내뿜으면서 두 물질이 액체가 되어 물렁해지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스팩의 주 원료는 고흡수성고분자(SAP) 이기 때문입니다. 이 원료의 특성은 얼리면 딱딱해지고, 녹으면 말랑말랑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기본적으로 내부 물질은 물이기때문입니다.

    예전에는 물에 다른것을 섞었지만 환경문제로 최근에는 물로만 사용하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