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4.07

통화 스와프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와 다른나라간 통화를 달러와 바꾸는것을 통화스와프라고 하나요?

이 통화스와프를 국가끼리 왜하는건지, 해주는 나라와 받는 나라는 어떤 이득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0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통화스와프가 실제로 실행되면 큰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한은은 2008년 말부터 2009년 초까지 미 연준과의 통화스와프를 이용해 5차례에 걸쳐 총 163억5000만 달러를 시중은행에 공급했습니다. 그러자 실제 외화 유동성의 영향을 받는 외환 지표들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를 유동성 효과라고 합니다. 특히 한미 통화스와프는 일시적인 달러화 유동성 부족을 신속히 해결해줘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국내 시장의 불안을 조기에 안정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고 소규모 개방경제이기 때문에 대외 충격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에 한은은 외환보유액을 충분히 쌓는 것 이외에도 주요국 중앙은행과의 통화스와프 확대를 통해 외화 유동성 공급을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유지하는 데 힘써 왔습니다. 특히 2017년 체결한 캐나다와의 통화스와프는 한도와 만기를 정하지 않은 기축통화국과의 계약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큽니다. 2019년 9월 말 현재 한은은 총 1328억 달러(캐나다 제외) 이상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스와프의 경우 상대국가의 경제 불확실성

    에 대한 리스크를 해소시키는 목적이 있습니다

    IMF 외환위기에도 만약 통화스와프가 되었다면

    불확실성해소로 인하여 피해가 적었을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 스와프는 약장 체결국 간 통화를 일정 환율에 따라 바꾸는 것(스와핑)을 의미합니다. 한국 원화는 기축 통화가 아니고 늘 환율 리스크에 노출된 중소 개방 경제입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미국, 일본 및 유로존과 일정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면 유사 시 스와핑을 하여 원화 환율을 안정화 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미국, 일본 및 유로존 국가들이 한국과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먼저, 우방국 간의 강한 경제적 유대와 글로벌 경제 리스크 확산 차단을 위함입니다. 세계 경제는 상호 연결 되어 있고 한국 경제도 그 축에 하나에 속해 서로 경쟁하면서도 일시적으로 충격을 받을 시 서로 조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통화스와프란 외환 위기 등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받는 계약입니다.
    위기 상황에 비상금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되고 별도 비용은 발생하지 않아 맺을수록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