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에서 지역은행 부실 논란이 생긴 이유가 뭔가요?
어제 미국 증시가 하락하고 금과 채권 등 안전자산이 상승했는데 그 영향에 지역은행 부실 논란이 생긴 영향이라고 하더군요.
2023년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시기가 생각나는데 뭔가 단기조정은 어쩔 수 없어 보이기도 하는 상황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근데 현재 미국에서 지역은행 부실 논란이 생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중소은행들은 장기 국채 보유로 인한 평가손을 감내하지 못하면서 자본 건전성이 악화되었습니다. 금리 인상 이후 예금이 대형은행과 MMF로 이동하면서 유동성 위기가 가속화 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일부 지역은행들이 부실 대출 문제를 연이어 공개하면서 투자자들의 신용 불안이 급격히 커졌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자이언스 뱅코프와 웨스턴 얼라이언스 등의 은해잉 사기성 대출 및 부실 대출로 인한 손실을 공시했고, 이는 시장 전반에 숨겨진 부실이 더 있을 수 있다는 공포를 확산시켰습니다. 이러한 불안감은 특히 느슨했던 대출 관행이나 불투명한 비은행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 비롯된 신용 위험이 표면화되고 있다는 우려로 이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지역은행 부실 논란은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보유 중인 채권 가치가 떨어지고, 상업용 부동산 대출 부실이 확산된 게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중소형 은행들이 부동산 대출 비중이 높은데, 경기 둔화로 상환 지연과 담보가치 하락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유동성 불안이 커졌습니다. 여기에 예금 유출이 이어지고 단기자금 조달비용이 오르면서 수익성까지 악화됐습니다. 이런 불안이 퍼지자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몰리며 주가가 출렁인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부실 논란의 경우 대출을 한 기업이나 회사에서 대출에 대한 상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 문제로 은행에서는 이러한 신용에 대한 상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부동산에 대한 대출이 우리나라 만큼이나 높으며, 이러한 대출이 상환이 제대로 되지 않고, 파산이 나는 경우가 많아서, 지역은행에 대한 부실 논란이 발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역은행 두곳이 스스로 공시를 하면서 불거진 내용이며 일부 대출해준 차주쪽에서 대출을 갚기 어렵다는 재무적 상황이 발생했고 이로 인하여 대출자산의 부실이 발생한것입니다.
한곳은 자이언스뱅코프로 약 6000만달러의 규모의 손실이 발생하였고 두번째 지역은행은 웨스턴 얼라이언스 빌려준 차주에게 자금 부정사용이 발각되었다며 이에 대한 공시를 발표한것입니다. 해당 사항 자진공시로 큰 규모도 아니었으며 과거 실리콘 밸리은행의 장기채 금리 급등으로 인한 시장의 불안감이 다소 있어서 이에 대해서 다소 발작을 일으켜서 반응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두 차주는 기존의 장기채와 관련되있거나 상업용부동산관 관련되어있는게 아니라 자동차 부품관련된 업체로서 개별적리스크이므로 현재로서는 크게 우려를 볼만한 상황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지역 은행 부실화의 주요 이유를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대출 부실
자동차 관련 산업 연쇄 부도 > 최근 포스트브랜즈, 트라이컬러홀딩스 등 자동차 부품 관련 회사 파산
리스크 관리의 취약성 > 대형은행에 비해 지역은행의 리스크 관리, 내부통제, 포트폴리오 다양화 등 취약
투자자 불안과 시장 파급 > 미국 지방은행 추가 부실 소식이 전해 지자 SPDR S&P 지역은행 ETF는 하루에 6% 급락했고 KBW 지역은행 지수도 6.3% 폭락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지역은행 부실 논란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지역은행들이 승인한 대출에서
부실 문제가 붉어지면서 지역은행 부실화
논란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요 지역은행들이 부실 대출과 허위 대출자료, 자금 부정 사용 등으로 인한 손실을 공개함으로 인해 투자심리가 급격히 악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지역은행 부실 논란이 나오고 있는 이유는 일부 은행에서 부실 대출을 막지 못하는 모습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자이언스 뱅코프는 5000만 달러의 산업 대출을 회수를 못하는 회계상 손실 처리하였고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도 켄터그룹에 대한 선순위 담보권 행사를 못하게 되면서 부실 대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오늘 새벽에 미국은행 Zions 가 자산규모 30위정도 되는 은행인데 대출 자산 중에서 5000만달러 회계상 손실 처리를 발표했습니다
또한 자산규모 31위 은행인 Western Alliance 가 9860만달러 대출에 대한 선순위 담보권을 행사하지 못했음을 밝히면서 대손충당금 설정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죠
그래서 지역 및 중소형 은행 우려가 부각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자이언스 뱅코프는 자회사 캘리포니아 뱅크앤드트러스트가 취급한 상업 및 산업 대출 가운데 5000만달러 규모를 회계상 손실로 처리했다고 발표했고, 다른 지방은행인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WAB)도 캔터그룹에 대한 선순위 담보권을 행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두 은행의 사례는 모두 부실 대출 우려를 증가시켰는데, 두 은행은 모두 최근 파산한 자동차 부품업체 퍼스트 브랜드 그룹에 대한 익스포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지역은행 부실 논란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상업용 부동산 대출 비중이 미국 지역은행들을 중심으로 많이 있는데 현재 이런 부동산의 공실율이 급증하면서 대출이자 연체가 지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부실대출의 증가로 인해 현재 상당히 안좋은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