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의로운호랑나비19
의로운호랑나비1922.06.05

아들이 항상 어두운 방에만 있으려합니다 ㆍ우울증일까요~?

신랑이 아이들어렸을때부터 술과폭력을많이 행사했습니다ㆍ다행히 지금은이혼을했는데ㆍ아들이방에만있으려고하고 어둡게만있어요 ㆍ우울증인지궁금합니다친구도 만나지않고있으니 걱정이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문이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아드님께서 외부활동을 전혀하지않고

    방안에 혼자만 고립된생활을하다보면

    대인관계를 회피하게되면서

    추후 사회생활에 적응하는데도

    힘들어할수있기에 평소 어머니께서

    격려하고 지지해주는주시면서

    야외로함께 운동을하거나

    간단한 장보기라도 함께할수있는것을

    같이하시면서 소통을많이해보시는것이좋습니다

    재능이나 좋아하는것을 배우게하거나

    취미생활도 적극적으로할수있게 도와주시면서

    자기개발을 할수있는것들을 권해보시고

    아이의 컨디션이나 기분이조금 괜찮아보일때

    함께 전문상담센터를찾아편안한분위기에서

    상담을받아보신다면 아드님께

    많은도움이될것입니다

    잘해결될꺼라고생각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릴적 트라우마 때문에, 밖을 두려워해서 나가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집안에서도 게임을 하거나, 자신이 즐겁게 활동하고 있는 거면 다행인데, 아무것도 하지 않고 매일 어둡게만 지낸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심리상담사입니다.

    과거의 트라우마로 인하여 그러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우선적으로ㅠ병원에ㅜ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재 글만으로 우울증이라고 할수없으나

    가정환경속에서 많이 무섭고 힘든 시절이 많았을듯합니다.

    이러한 감정이 해소되지 못한다면 사회에나가서도 적응하는것에 대해서 불안감이 생길수있기에

    이러한 부분은 가능하면 심리상담을 받으면서 풀어가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석 심리상담사입니다.

    청소년 심리상담 센터나 학교내에 있는 위클래스 선생님을 통해서

    아이의 상담을 권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또한 아이와 진지한 대화를 통해서 아이가 생각하는 속마음이 무엇인지도 물어보면서 아이의 상황을 더욱 잘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단순히 방에만 있다고 하여 우울증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아들과 방에 있는 이유에 대하여 대화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릴적 아버지에게 맞은 기억이 트라우마로 남아서 그 기억이 자주는 아니지만 고통스럽다면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맞습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증상은 지속적으로 고통스러울 수 있기에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 아하 플랫폼 "심리상담" "보험" 카테고리에서 답변자로 활동중인 심리상담사 입니다.

    아이들이 어렸을때부터 폭력을 당했다면 트라우마나 우울증 등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이의 문제는 아니구요. 누구라도 그런상황에 있다보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빠른 시일내에 아이를 데리고 심리상담소를 방문해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7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나이가 들었다고 모두 ‘꼰대’가 아닌 것처럼, ‘밀레니얼’ ‘니트족’ ‘90년생’ 등 사회가 청년들에게 멋대로 붙인 이 이름들이 개별적 존재로서의 청년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신을 인정받지 못하는 사회에서 이들의 마음이 닫혀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