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속담 중에 '제 논에 물대기'라는 속담은 '아전인수'를 번역한 것인가요?

속담 중에 '제 논에 물대기'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이와 뜻이 같은 한자성어로 '아전인수'라는 말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 말 중 어떤 것이 먼저 나온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 논에 물대기는 '자기에게만 이롭도록 일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의미합니다.

    아전인수는 자기 논에만 물을 준다는 뜻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행태'를 꼬집는 말이라고 합니다.

    아전인수라는 말은 일본에서 전해져 내려온 말이라고 합니다. 어떤 것이 먼저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전인수 (我田引水)는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행태를 꼬집는 고사성어로, 한국어로 풀어서 '제 논에 물 대기'라고도 합니다. 이 단어의 유래는 옛날 농사를 짓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한자 성어가 머저 나오고 우리말 속담이 나중에 나온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전인수는 자기 논에 물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유리하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말을 이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