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3.02

사람의 텔로미어는 왜 재생할수 없는 걸까요??

세포 분열로 인하여 사람이 지속적으로 살아가는데요. 텔로미어가 짧아서 계속 사용되다가 결국 다 사용되면 노화가 진행된다고 들었습니다. 사람의 텔로미어는 왜 재생할수 없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2

    텔로미어는 염색체 끝단에 위치한 DNA의 일부분으로, 염색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세포분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세포분열이 반복될수록 텔로미어는 짧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세포분열 시 텔로미어의 끝부분이 잘리거나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텔로미어가 짧아지면 세포분열이 계속될수 없으며, 이로 인해 세포의 노화와 세포사멸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인체에서도 일어나며, 이는 노화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세포분열 시 텔로미어를 보호하는 효소인 텔로메라제(Telomerase)가 있습니다. 이 효소는 텔로미어를 추가생산하여, 일부 세포에서는 텔로미어가 일정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성인에서는 텔로메라제 활동이 낮아져서 텔로미어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단에 위치한 DNA의 일부분으로, 염색체의 안정성과 유전자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의 길이는 단축되어, 결국 텔로미어의 길이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세포분열이 불가능해지고, 이는 노화를 가속화시킵니다.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 과정에서 단축되는데, 이는 DNA 복제과정에서 끝단 부분의 일부가 손실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포분열 이후에도 텔로미어를 재생성하는 능력은 제한적입니다. 이러한 텔로미어 단축과 재생 능력의 한계는 노화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텔로미어를 재생성하는 효소인 '텔로머아제(telomerase)'의 활성화를 통해 텔로미어의 단축을 예방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텔로머아제 활성화를 통한 노화지연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로미어는 DNA가 있는 염색체의 끝단에 위치한 무수한 반복 단위의 염기서열로, 염기서열의 길이는 개인마다 다릅니다. 세포 분열이 일어날 때마다 텔로미어의 길이는 단축됩니다. 이는 세포 분열 시 염색체의 복제 과정에서 텔로미어가 복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텔로미어가 재생할 수 없는 이유는 텔로미어의 단축에 대한 대응 메커니즘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세포 분열 시 텔로미어의 길이가 단축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생리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하로 텔로미어가 단축되면 세포 분열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세포 분열 시 텔로미어를 보호하고 재생성하는 효소인 텔로메라아제(Telomerase)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성인의 일부 조직에서는 텔로메라아제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거나 매우 낮은 수준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세포 분열로 인한 텔로미어 단축이 계속해서 진행되면서 노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로미어는 세포의 엔드리보솜(End-ribosome)의 끝단에 위치한 DNA 서열의 일부입니다. 텔로미어의 역할은 세포 분열 중에 염색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세포 분열이 발생할 때마다, 텔로미어는 단계적으로 단축됩니다. 이는 DNA 분열과 연관되어 있으며, 세포 분열이 발생할 때마다 텔로미어가 일정 부분 단축되면서 세포가 노화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텔로미어는 DNA의 끝단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DNA 복제시 텔로미어 부분은 불완전한 상태로 복제됩니다. 이러한 불완전한 복제 과정은 텔로미어의 길이를 점차적으로 줄이고, 결국에는 더 이상 복제되지 않는 상태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텔로미어는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텔로미어의 단축은 세포 노화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거나 연장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은 세포 노화 및 암 등과 관련된 연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단에 위치한 DNA 서열입니다. 염색체가 세포분열을 하면서 복제될 때, DNA 복제효소인 DNA 폴리메라아제가 염색체 끝단을 제대로 복제하지 못하고 일부가 손실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텔로미어의 길이는 점점 짧아지며, 이를 텔로미어 단축이라고 합니다.

    텔로미어의 단축은 세포 노화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노화와 함께 세포분열 능력이 저하되는데, 이는 텔로미어 길이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갔을 때 발생합니다. 더 나아가, 텔로미어의 단축은 종양의 발생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텔로미어가 일정 수준 이하로 단축된 세포들은 자신의 DNA 손상을 감지하고 세포사멸(어포토시스)을 일으키는 반면, 일부 세포들은 텔로미어를 유지하며 무제한으로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집니다. 이러한 무제한 분열 능력을 가진 세포들이 종양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텔로미어가 재생되지 않는 이유는, 세포분열에 따라 텔로미어가 점차 단축되면서 노화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모든 동물, 포유류에서 발생합니다.


  • 텔로미어가 마모된 늙은 세포는 세포의 다른 부위와 의사소통을 잘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다른 세포들에게 잘못된 경보를 전달할 수도 있고,

    각 기관에서 보내는 신호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해 몸에 해를 끼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늙거나 손상된 세포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세포소멸'을 통해 스스로 자살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번 죽으면 다시 살 수 없는것과 마찬가지 이치입니다. 재생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