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한잔안되겠니
한잔안되겠니

바다 생물 간의 먹이 사슬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육지에도 먹이 사슬이 존재 하듯이 바다 생물 간의 먹이 사슬도 있을 것 같은데 바다 생물 간 먹이 사슬은

어떻게 구성 되어 있는지 간단하게 설명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기체들이 섭취하는 유기체애 생물군계나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으로 화살표가 연결됩니다. 해양 미세조류인 스피룰리나가 보통 먹이사슬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여러 개의 먹이 사슬이 얽혀 있는 것을 먹이 그물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바다 생물의 먹이 사슬 역시 육지와 비슷하게 생산자와 소비자 단계로 구성됩니다.

    생산자에는 주로 햇빛을 이용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는 식물성 플랑크톤입니다. 바다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1차 소비자로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작은 동물성 플랑크톤, 작은 어류 등이 해당되며 2차 소비자로는 작은 어류를 먹는 중간 크기의 어류, 해파리 등이 이에 속하고 3차 소비자로 중간 크기의 어류를 먹는 큰 어류나 바다 포유류와 해양 파충류 등이 있습니다.

  • 바다 생물 간의 먹이 사슬은 기본적으로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성됩니다. 식물성 플랑크톤과 같은 생산자가 태양광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며 먹이 사슬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이들을 동물성 플랑크톤이 먹고,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가 동물성 플랑크톤을 섭취합니다. 이후 작은 물고기를 중간 포식자인 큰 물고기나 오징어가 먹고, 최상위 포식자인 상어나 고래 등이 이들을 섭취합니다. 죽은 생물들은 해저의 분해자들이 분해하며 영양분을 순환시켜 먹이 사슬을 완성합니다. 바다 생물 간 먹이 사슬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에너지는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점차 전달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플랑크톤들이 최하위 생산자의 역할을하고 작은물고기나 생물들이 이들을 섭취합니다. 이후 큰물고기들이나 중대형 포유류들이 이들을 다시 섭취합니다.

    최상위포식자가 배설한 배설물들은 해저바닥으로이동하며 다시 생산자들이 이를먹고 개체수를 늘려가며 생태계가 유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