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영리한까치150
영리한까치150

저녁 9~10시쯤 자면 2~3시간 자고 깹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17

9~10시쯤 자면 피곤해도 2~3시간 자고 깨서 잠이 안 옵니다

불면증 증상일까요?

불면증이라면 어느 병원 가야 하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수면리듬이 깨졌거나 수면환경이 쾌적하지 못할 가능성을 생각해보아야 하겠습니다. 가까운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를 한 번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


      현재 질문자님의 나이를 고려했을 때 학업이나 여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수면환경을 개선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잠을 잘 때는 불을 다 끄고 어두운 환경을 유지한다.

      새벽에 자다 깨더라도 절대로 시간을 확인하지 않는다.

      잠자기 전 최소 30분 전부터는 티비, 컴퓨터, 특히 휴대폰을 하지 않는다.

      잠이 안 오는데 너무 일찍 자려고 하지 않는다.

      낮 시간 동안 최소 30분 정도는 햇살을 쬔다.

      스트레스 관리를 한다.


      등의 노력을 우선 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면유지장애에 해당하시는 것 같습니다.

      불면증이라는 용어에는 '잠을 잘 못 자는 것(입면장애)'과 '중간에 자주 깨는 것(유지장애)'이 포함됩니다. 이 두 가지 증상은 각기 다른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원인 질환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증상을 구분하여 고려해야 합니다. 수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다양한 수면장애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정신생리적 불면증은 불면증의 대표적인 형태로, 잠을 잘 못 자는 사람이 과도하게 잠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자려고 할 때에 뇌에서 과다한 활동과 생각이 생겨 잠을 방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수면 중 깨어있는 시간을 늘려 깊은 수면을 얻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고, 낮 동안 충분한 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이 오지 않는 경우, 수면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합한 수면치료법과 약물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위상증후군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지연형과 일찍 자고 일찍 깨는 전진형으로 나뉩니다. 이러한 상황은 여행 시차나 교대 근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면위상증후군은 체내 생체 리듬의 이상으로 발생하므로 수면제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적절한 수면 스케줄 조절을 통해 새로운 수면 패턴을 만들어야 합니다.

      다리 움직임 장애 증후군은 다리에서 불편하고 불쾌한 감각을 느끼고, 다리를 움직이는 충동이 생기며, 다리를 움직이면 증상이 개선되는 수면장애입니다. 이러한 증상 때문에 잠을 잘 못자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도파민 농도의 감소가 하나의 원인으로 여겨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파민 효과를 갖는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코가 막혀 호흡이 중단되는 증상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수면 중에 잠깐 동안 깨어질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낮 동안 졸림을 유발하고, 졸음 운전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인지기능 손상 및 심혈관 및 뇌혈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체중 감소는 무호흡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양압기 착용, 구강 내장치 또는 수술적 치료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수면 유지가 잘 되지 않으면 불면증 증상일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불면증과 관련하여서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가장 전문적으로 진료를 보므로 해당 진료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