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A란 무엇이고 우리나라와 관계가 있는 용어인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가 못사는 나라를 도와준다고 하는데요.
거기에 ODA라는 단어가 있었습니다.
ODA란 무엇인지,우리나라와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ODA는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 사회발전, 복지증진 등을
주목적으로 하는 원조로, 공적개발원조 또는 정부개발원조입니다.
우리나라는 개도국에 대한 양허성 차관을 지원하고자 정부가 출연,
한국수출입은행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설치하고 유상협력을 집행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발바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ODA는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의 약자로, 공식 개발 원조를 의미합니다. 이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경제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ODA의 목적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복지 향상을 돕는 것입니다.
한국은 ODA의 수혜국에서 이제는 공여국으로 전환되었습니다. 한국은 2010년부터 ODA를 확대하고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다양한 지역에서 개발 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교육, 보건, 인프라 개발 등 여러 분야에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ODA에 대한 내용입니다.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의 약자) 로 공적 개발 원조를 으밓바니다.
즉, 정부를 비롯한 공공 기관이 개발 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사회 복지 증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원조를 의미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공적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거 우리나라는 1950~70년대에 미국 등으로부터 많은 ODA를 받은 대표적인 국가이었습니다.
경제성장과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2010년 OECD DAC에 가입하여 오히려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로 69년 OECD에서 규정한 개념입니다.
공적개발원조로 어려운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 원조를 해주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ODA 규모는 27억불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말씀하신대로 오디에이란 잘사는 나라들이 개발도상국 국가들을 도와주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ODA를 지원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다만 이것은 단순히 호의로만 베푸는 게 아닙니다. 이것가 사업이 연결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때도 이것과 관련 있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ODA란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복지 증진을 돕기 위해 공적 자금을 제공하는 국제 원조입니다. 우리나라는 과거 ODA를 받던 국가였으나, 현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으로서 개발도상국에 교육, 인프라,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을 제공하며 국제사회의 책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ODA는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의 약자로 공적개발원조라는 뜻입니다.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적인 지원활동 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활발히 개발도상국의 지원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공적개발원조란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복지 증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원조를 의미합니다. 개발도상국 정부, 지역, 또는 국제기구에 제공되는 자금이나 기술 협력을 포함하는 개념인데, 우리나라 역시도 과거 공적개발원조를 받았고, 이제는 우리가 원조를 해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