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는 악재인가요 호재인가요?
유상증자는 그 이후에 주가에 악재일까요 호재일까요? 만약 악재라면 그 이유는 무엇이며 호재라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유상증자와 같은 경우 보통 기업에서 현금 등을 확보하여 부채상환 및 경영에 사용하고자 하여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세요.
질문해주신 유상증자가 악재인가 호재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상증자는 일반공모보다는 나은 방식으로 평가되지만
자본금을 왜 모집해야 하는지 그 이유에 따라서
호재로도 혹은 악재로도 평가 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많은 경우 유상 증자는 악재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가지고 있던 기존 주식 지분 이 희석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추가적으로 돈을 넣지 않으면 결국 제 지분은 낮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카튼 폰1번은 회사에서 주식 개수가 늘어나면 당연히 거기에 따라 나오는 배당금도 줄어들 것입니다
다만 간혹 유상증자 이후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유상증자를 통해 마련된 자금으로 신성장산업 등에 투자하는 경우입니다
유상증자는 보통 주식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기존 주주의 지분가치 하락 우려가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유상증자를 실시하게 되면 새로운 주식이 발행되어 신주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그 가격을 정한 후 제3자에게 배정하거나 일반 공모를 통해 주식을 팔아야 합니다. 이렇게 발행되는 신주의 가격은 기존에 거래되던 주식의 가격보다 저렴하게 책정되며, 제3자 배정이나 일반 공모의 경우 할인율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유상증자가 항상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증자를 통해 조달된 자금이 효과적으로 활용된다면, 기업 가치를 상승시켜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추가 자금을 확보하여 사업 확장이나 새로운 기술 개발 등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상증자는 회사로 봤을 때는 별로 좋지 못한 이슈 사항입니다.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들 또는 제3자가 에게 돈을 받아서 신주권 발행을 하는데 유용자금의 부족으로 부족한 자금 유동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존 주주의 재산이 훼손되는 것으로 악재로 봐야하며, 유상증자 특성상 자금의 대출 형태가 아니라서 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회사의 이점이 생깁니다.
만약 호재라고 한다면 시설 투자나 신규사업을 위한 자금확보 차원이라면 그나마 호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