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슬이아버지
슬이아버지22.11.08

1금융권도 망할 수 있을까요?

저축은행들이 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채권시장이 무너졌고 부동산 시장의 전망이 매우 어둡습니다.


1금융권도 망할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듭니다.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모든 회사는 파산할 수 있습니다. 지난 1998년 한국의 IMF 금융위기 때 서울은행, 지방은행 다수가 파산 지경에 이르러 기존 은행과 합병을 진행한 바가 있고 지난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100년 가까이 된 리만브라더스 등이 파산한 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에 2금융권이 PF대출의 부실화로 인해서 도산의 위험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고 이로 인한 금융권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금융권과 마찬가지로 1금융권의 은행들도 부도의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은행이 파산하게 되는 경우는 고객이 맡긴 돈을 원활하게 지급하지 못하게 될시에 파산을 하게 되는데요. 은행의 주된 영업활동은 잘 알고 계시듯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에 따른 예대마진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고객이나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차입하고 향후에 이 돈을 원금과 이자를 함께 지급해야 하는데 위의 PF대출이 부실화 되듯이 1금융권의 은행들이 취급한 대출들이 부실화가 발생하게 된다면 은행은 대출로 빌려준 돈을 회수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예금을 맡기거나 다른 기관에서 빌려온 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사태에 대비해서 은행이 어느정도의 자기자본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건전성 지표가 BIS비율입니다. 이 BIS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건전성이 양호하지만 반대로 BIS비율이 낮을수록 위와 같이 대출의 부실화가 되면 돈을 갚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큰 은행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1금융권도 대출을 잘못 지원하게 되어 대출에 대한 원금을 받아내지 못하게 되면 2금융권과 같은 부실화 가능성은 언제든 열려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의 은행 등이 망한다면

    위 여파가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퍼질 영향력 등을

    생각하면 어마어마할 것으로

    1금융권의 은행과 같은 경우에는 재정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좋은편이기에

    파산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1금융권의 은행들의 유동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망할 이유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과거 리만브라더스 사태이후 은행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은행들은 무리한 투자를 할수 없게 되었고 현재도 1금융권의 유동성은 매우 좋은 상태입니다.

    다만, 2금융권의 경우 일부 대출에 대하여 연체 및 부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유의하실 필요가 있는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금융권보다 1금융권에 재무건전성에서 안전하게 관리를 합니다.다만 100%라는것이 없기에 예금자보호법을 두고 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5천만원이내로 보장을 하는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도 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금융권 은행이 망한다면 은행 연쇄 도산이 이어질 것이므로 세계대전이 한국에서 일어나는 일이 있지 않는한 그러한 일은 발생하지 않을거라 예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