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어린사자44
어린사자4423.06.07

스태그플레이션의 가능성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싶습니다.

문득궁금해요. 연준이 계속해서 금리인하에대한 가능성을 언급하지도않고있는데, 물가가 계속 높게유지되거나 상승할 가능성이있어서 그런거일까요? 현재금리수준을 유지할경우 사실상 경제침체만 야기시키는건 아닌지 궁금합니다.왜 연준은 물가를잡기위한 금리인하를 서두르지않고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하여는 금리인하는 적절치 않으며

    금리인상이 적절한 방법입니다.

    연준에서 금리인하를 발표하면 물가가 다시 급등할 수 있기에

    신중을 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금리인하가 아니라 금리인상을 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물가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의 상승이라고 하는데, 이는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기에 인플레이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시중의 화폐 유동성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금리인상을 하게 되는데,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화폐가 줄어들게 되면서 경제 주체들의 소비가 감소하게 되면서 이는 곧 경제의 위축 및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지금 미 연준이 가져야할 핵심은 금리인상을 통해서 빠르게 2%대의 인플레이션율에 도달해야지만 하는 것이며, 이는 경기침체전에 빨리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이 후에 금리인하를 통해서 금리로 인해서 위축되어진 경제를 활성화 시켜야 하는 미션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