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고사성어 견마지로의 뜻은 무엇인가요?

견마지로라는 말을 많이 들었지만요, 이것이 어디서 유래가 되었는지 나아가서 어떤 뜻인지 궁금합니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면 간단하게도 설명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견마지로’(犬馬之勞)는 ‘개와 말의 수고’ 라는 의미 인데 남에게 봉사하거나 헌신하는 노력을 겸손하게 표현하는 고사성어로서 자신이 하는 일이 작고 미약하다고 겸손을 보여 주며 상대방에게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고 있는 성어 입니다. 예문을 들어 보면 예문) 하찮은 저를 뽑아 주신 다면 이 회사에서 저의 견마지로를 다하겠습니다. 등으로 쓰입니다.

  • 견마지로는 개나 말처럼 보잘거 없지만 최선을 다해 도와주겠다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윗사람 앞에서 자신의 노력을 겸손하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전국시대 정치가 소하가 유방을 도와 한나라를 세우며 개와 말처럼 낮은 신분이지만 임금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 한것이 유래입니다.

  • '견마지로(犬馬之勞)'는 개나 말처럼 하찮은 힘일지라도 충성을 다해 수고하겠다는 뜻으로,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표현할 때 씁니다.중국 고사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신하가 임금에게 충성을 맹세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나라의 장수들이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이 표현을 썼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견마지로는 개나 말처럼 충성스럽게 힘을 다하는 노력을 뜻합니다.

    자신을 낮추며 충성을 다하겠다는 겸손한 표현으로 중국 고사에서 신하가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한 말에서 유래했습니다.

    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겠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개 견, 말 마, 갈 지, 일할 로 한자어이며, 자신을 낮추어 충성을 다하는 노력이나 윗사람이나 나라를 위해 힘을 다하는 정성된 봉사를 뜻합니다.

    충성스럽게 헌신하겠다는 겸손하고 충직한 태도에서 사용합니다.

    고대 중국 문헌에서 자주 등장했다고 하고, 신하들이 황제나 임금에게 충성을 맹세할 때 자신을 개나 말처럼 보잘것없는 존재로 낮추며 헌신을 하겠다는 맥락에서 사용되어졌 답니다.

  • 견마지로는 개와 말처럼 자신을 낮추어 윗사람이나 국가를 위해 충성을 다해 헌신하겠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노력을 겸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이 일에 저의 견마지로를 다하겠습니다

    작은 힘이나마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전하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견마지로를 다할 뿐입니다

    임금에게 충성심을 표현할 때도 자주 쓰였어요

    뜻은 개나 말처럼 하찮은

    존재로서 최선을 다해 봉사한다는 의미 입니다

  • '개와 말의 노력'이라는 뜻으로, 윗사람 앞에서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사자성어인데요. 대체로 왕 앞에서 개와 말처럼 최선을 다해 몸바쳐 일을 하겠다는 말을 할 때 종종 사용되었던 표현이라고 합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 소상국세가(蕭相國世家)에는 견마지로는 아니지만, 견마지로와 같은 뜻을 가진 ‘견마지성’(犬馬之誠)의 유래가 나옵니다. 기원전 202년 한왕 유방은 항우를 멸하고 천하를 평정했습니다.. 유방은 신하들의 공을 논하고 상을 주려 했으나 신하들이 서로 공을 다투는 바람에 1년이 넘도록 공로의 대소를 정하지 못했다고 하네요.

    검색을 하니 이렇게 나옵니다.

  • 한자로 犬馬之勞라고 쓰는데 ‘개와 말의 수고’라는 뜻이에요 옛날 중국에서 신하들이 임금에게 자신을 낮춰 표현할 때 “저는 개나 말처럼 하찮은 존재지만 충성을 다하겠습니다”라는 의미로 썼던 거예요 그래서 견마지로는 윗사람이나 나라를 위해 자신을 낮추며 헌신하겠다는 태도를 나타내는 말이에요 요즘도 정치인들이 “견마지로를 다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만큼 책임감 있게 일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죠 아주 의미있는 사자성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