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4.01.06

서울의 옛 이름이 경성이었나요? 일본이지었나요?

서울대학교도 경성제국대학이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이 경성으로 불렸나요? 일본이 지었나요? 구렇다면 왜 이렇게 지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뒤인 1910년 10월 1일부터 8.15 광복 이후 경기도 서울시로 개칭되어 폐지된 1946년 8월 11일까지 만 35년 10개월 10일 간 존속한 경기도에 속한 옛 행정구역으로, 현재 서울특별시입니다. 일본어로는 게이조후(けいじょうふ)라고 했습니다.


    1910년 한일강제병합으로 대한제국이 멸망하고 일제강점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대한제국 수도였던 한성부! 대한제국 수도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10월 1일부로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가 발표됨에 따라 한성부는 경성부로 개칭되어 경기도로 편입되었으며, 경기도청 직할 구역이 되었습니다.


    비록 1910년부터 1946년까지 경기도 관할지역으로 격하되기는 하였지만 식민지 조선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경성이란 표현은 수도(京)+성곽(城)이라는 뜻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쓰였습니다. 경셩으로 표기했으며 이는 지명이라기보다는 한 나라의 임금이 거하는 '서울'이라는 의미로 쓰였던 것입니다. '서울'이란 이름도 이 경성의 직역 또는 그 연장선에 있다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경성(게이조)'이라는 이름이 일본이 만든 것은 아닙니다. 당대 명백한 성곽도시였던 서울의 모습이 '京+城'로 개칭을 하는것을 당연시하게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경성(京城)은 일제가 강제로 한양의 수도 지위를 박탈하고 한양 일부(1936년 이후에는 여기에 근교 경기도 지역도 포함)를 하나로 묶어 '경성부'라고 이름지은 것으로, 조선시대 이전 보통명사 '경성'과 일제강점기 고유명사 '경성'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알아야 할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성과 같은 경우에는

    일제시대에도 사양하였습니다만 이는

    조선시대, 고려시대, 통일신라 시대 등

    수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성이란 이름이 보통 도읍의 성이라는 의미로

    일제가 지은것이 아니라 일제시대에 그렇게 불렸을 뿐으로 기록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6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성이 일본이 지은 지명 이름인지가 궁금하군요.

    경성은 수도를 가리키는 옛표현이라고 합니다.

    일제강점기 경성부 때문에 좋지 않은 의미로 현재는 인식되고 있지만, 이와 별개로 경성이란 단어 자체는 일제의 잔재가 아닙니다. 실제로는 조선왕조실록에서도 많이 나온 표현이며, 조선 이전 고려의 개경을 고려사에서 부르거나 신라의 서라벌을 삼국사기에서 가리킬 때도 경성이라 쓰기도 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흔히 쓰여 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성이란 표현은 수도(京)+성곽(城)이라는 뜻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에도 쓰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지명이라기보다는 한 나라의 임금이 거하는 '서울'이라는 의미로 쓰였던 것이고 '서울'이라는 고유어도 원래는 도읍을 뜻했으고 '서울'이란 이름도 이 경성의 직역 또는 그 연장선에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래서 '경성(게이조)'이라는 이름이 일본이 만든 신조어는 아입니다. 당대 명백한 성곽도시였던 서울의 모습이 '京+城'로 개칭을 하는것을 당연시하게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경성(京城)은 일제가 강제로 한양의 수도 지위를 박탈하고 한양의 일부(1936년 이후에는 여기에 근교 경기도 지역도 포함)를 하나로 묶어 '경성부'라고 이름지은 것으로, 조선시대 이전 보통명사 '경성'과 일제강점기 고유명사 '경성'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알라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성'이라는 명칭은 수도(京)+성곽(城)이라는 뜻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쓰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지명이라기보다는 한 나라의 임금이 거하는 '서울'이라는 의미로 쓰였던 보통명사입니다. 즉 경성 명칭 자체는 일본이 만든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경성은 일제가 강제로 한양의 수도 지위를 박탈하고 한양 일부를 하나로 묶어 '경성부'라고 이름지은 것으로 조선시대 이전의 보통 명사의 '경성'과 일제 강점기 고유명사 '경성'은 구분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