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숙연한바다매141
숙연한바다매14122.03.15

건강검진으로 이상지질혈증(콜레스테롤), 간수치가 높아 진료를 받으려 하는데요.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만 40세 남성입니다.

몇개월전에 건강검진을 하였는데 간수치(AST)가 180,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73으로 정상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이래저래 시간이 좀 흘렀지만, 병원을 가보려고 하는데요.

그런데 병원은 동네 병원으로 가서 진료를 받으면 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대학병원을 가야하나요?

대학병원을 가려면 시간내기가 쉽지 않아서요..

그리고 진료를 받으면 약을 처방받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가까운 내과를 방문해서 이상지질혈증, 간수치에 대한 혈액검사 등을 받으면 됩니다.

    바로 대학병원으로 갈 필요는 없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이전 검사에서 AST가 상승되어 있어 검사를 통해 수치를 다시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흔히 착한 지질로 알려져 있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검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 병의원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며 정밀 검진이 필요할 경우 상급병원으로 전원되실 수 있습니다. 간수치 정도나 상승의 원인에 따라 간기능 보조제 등이 처방될 수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3.17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고지혈증은 지방 및 영양대사의 문제로 혈관에 지질이 쌓여 염증을 유발하고 혈관이 좁아지는 질병입니다. 결과적으로 심근경색 뇌출혈등을 유발할수 있으므로 조기에 약물복용으로 유지 관리가 필요합니다. 식이 습관에 따라 검사 결과에 영향이 있을 수 있고 운동으로도 지질을 어느정도 개선할 수 있으나 약물복용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가까운 내과에서 진료와 처방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3차 병원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소견서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나 2차 대학 병원은 소견서 없이도 소화기내과 진료가 가능합니다. 두 곳에 대해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HDL Cholesterol 은 높은 것이 좋으나 AST 가 높게 나오고 있어 간기능

    검사 및 간초음파 등의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고밀도콜레스테롤은 높다고 해서 문제 되지 않습니다.

    AST에 대해 정밀검사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동네병원 가셔서 초음파 해보셔도 되고, 아니면 대학병원 가보셔도 됩니다

    진료 보시고 약 처방받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꾸준하고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하루 30분~1시간 정도 하시기 바랍니다. 규칙적인 식습관, 수면습관도 중요합니다.

    음식관리는 기름진 음식을 가급적이면 피하시기 바랍니다. 병원 방문하셔서 고지혈증약 처방 받아서 복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높게 나온 것으로는 특별히 진료 필요 없으십니다.

    AST 수치가 180이 나온 것은 높긴 하므로 소화기내과에서 진료를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우선 동네 병원에서 상태 평가를 하고 가능하면 해당 병원에서 치료해보시고 안 되면 큰 병원으로 가셔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몇개월 전에 간 수치가 오르셔서 많이 놀라셨을 것 같습니다.

    우선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HDL로 알려져 있으며 몸에 유익한 영향을 주응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있습니다. 이 수치가 높은 것은 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간수치의 경우 180정도로 AST가 오르셨는데, 이 경우 일시적으로 과음이나 피로, 지방간 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간수치가 몇개월이 지난 지굼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해 다시한번 피검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보이며, 간의 문제 평가등을 위해 초음파 검사등이 시행되어 질 수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대학병원에 갈 시간이 없으시더라도 꼭 동네 내과에라도 내원하셔서 진료 및 검사 치료계획등을 세우시는 것을 강력하게 권유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주변 동네병원 가셔도 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진료입니다.

    고밀도 콜레스테롤 (HDL)은 높으면 오히려 좋은겁니다. 남자 기준 60 이상이면 위험인자 하나를 커버해줄 정도로 좋은겁니다.

    AST는 높은게 맞고 고덱스 같은 간수치 낮추는 약을 처방해주실걸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현재 수치 정도로는 동네 병원에서도 충분히 진료는 가능합니다. 간수치 상승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면 복부 초음파를 추가해보면 좋겠고,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간장약을 드시면 됩니다. 고밀도콜레스테롤이 높은 것은 그냥 지켜보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준혁 의사입니다.

    우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높을수록 좋은 수치입니다. 그래서 걱정하실 필욘 없을꺼 같네요.

    다만 간수치가 높은 것이 문제인데, 이는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 등에서 상승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런 식으로 간에 문제가 있을 때에는, 복부 초음파나 혈액 검사 만으로도 대부분의 질환을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선 동네 병원에서 진료 받는 것으로 충분할 꺼 같구요.

    거기서 받은 검사를 통해 진단이 되면, 간염 바이러스가 원인이라면 항바이러스제, 알코올성 간염에는 술 끊기, 독성 간염에는 약물이나 한약 중단 등 원인에 따른 치료를 진행하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