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중의 산소농도는 고도가높아짐에따라 어떻게변하나요?
평소궁금한건데 공기중의산소는 고도가 높아짐에따라 어떻게 변하는지가 궁금합니다. 혹시나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의 산소의 양은 고도가 올라갈 수록 줄어든다고 합니다. 따라서 높은 산을 올라가는 산악인들이 고산병으로 고통스러워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지대로 올라갈 수록 산소가 희박해지기 때문에, 순화 과정 없이 산소가 희박하여 고산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고산지대에 오래 살게 되면 혈액 속 적혈구 수가 증가하여 해당 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적혈구 수가 충분하지 못해서 고산병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압이 낮아지면서 산소의 농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농도가 작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고도가 높은 곳을 탐험하는 산악인들이 높은 산에 가면 산소농도 때문에 고산병등이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산소는 공기보다 무거워서
아래로 낮게 깔리게 되요 그래서 고도가 높을수록 산소농도가 적어지게 되고
고도에 따라 산소농도가 다르게 되는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대기에서는 산소의 농도는 약 21% 정도 가 있습니다
그러나 고도가 높아 질 수록 산소의 농도는 희박하게 되어 3000m 이상의 산 높이에는 14.5% 정도로 줄어듭니다
그래서 산악인들이 높은 산에 올라갈때 고산병이 걸리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내려갑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집니다. 산소의 전체 농도(대기 중 산소의 백분율)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낮은 대기압 때문에 산소의 부분압이 감소합니다. 이는 공기 중에서 산소 분자의 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산소 부분압의 감소는 산소가 폐에서 혈액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감소시킵니다. 이는 고산 지대에서 체험할 수 있는 호흡 곤란의 원인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산소의 부분압이 줄어들어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산소의 양이 감소합니다. 이는 고산병과 같은 고도 관련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의 산소농도는 고도가 올라가도 크게변하지는 않지만, 절대량자체는 줄어들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