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아르테미션계획으로 달을 가려고 할때 왜 달의 극지방으로 목표를 잡은건가요?
현재 나사가 계획하고 있는 아르테미션을 보게 되면 향후 달의 극지방으로 목표로 갈 계획이라는걸 들었는데요.
그렇다면 왜 달의 극지방으로 계획을 하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나사(NASA)가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달의 극지방을 목표로 선택하는 이유는 과학적 및 인류 우주 탐사의 장기적인 목표와 기타 이점들 때문입니다. 아래는 그 주요 이유들입니다:
물 자원 탐사: 달의 극지방은 빙하로 덮여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은 인간 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우주 여행에 필요한 산소와 물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은 로켓 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수소를 생산하는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구 이동의 기지로 활용: 달의 극지방에 기지를 설치하면 지구와 달 간의 우주 여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중력보다 약하므로, 달을 거쳐 우주선을 출발시키는 것이 연료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과학적 연구의 중요성: 달의 극지방은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오래도록 얼어 있을 수 있는 곳으로, 달의 고대 역사와 태양계의 초기 단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의 과거와 비교해 우주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류의 지구 이외 생존의 가능성: 인류가 달의 극지방이나 다른 천체에 기지를 설치한다면, 우주 여행의 다양한 가능성과 인류의 장기적인 생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향후 세대들이 우주 여행과 지구 이외의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기회를 확장시키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탐사와 연구를 통해 달과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극대화하고, 인류의 우주 탐사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달의 극지방은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장소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극지방은 어두운 크레이터 내부에 위치해 있어 자원이 보존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극지방의 얼음은 물과 산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우주 여행 및 정착에 필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달의 극지방은 지구에서 볼 때 태양에 가장 가까워, 태양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태양 에너지는 달에서 발전된 후 지구로 전송되어 지구의 전력 공급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 탐사를 원활히 하기위해서는 계속해서 태양에너지를 공급받아야하는데, 극지방의경우 계속 해가 떠있기때문에 탐사우선목표로 정해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