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누리함
누리함23.04.21

문학 비평은 문학 작품과 현상을 해석, 감상, 평가하는 일체 활동을 말합니다. 그러면 비평 종류인 내재적과 외재적 비평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문학 비평은 문학 작품과 현상을 해석, 감상, 평가하는 일체 활동을 말합니다.

그러면 비평 종류인 내재적과 외재적 비평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관심 방향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기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외재적 비평:작품을 작품 외부 세계와 연결시켜 연구함.



    ① 표현론적 관점

    ㉠ 작가의 체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

    ㉡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의도, 작가의 전기, 작가의 심리 등에 관한 연구

    (예) '무정'은 이광수의 생애의 투영임


    ② 반영론적 관점


    ㉠ '작품은 현실 세계의 반영이다.'라는 관점

    ㉡ 작품이 대상으로 삼은 현실 세계에 대한 연구, 작품에 반영된 세계와 대상 세계를 비교 검토, 작품의 대상 세계의 진실한 모습과 전형적인 모습을 반영했는가를 검토

    (예) '흥부전'은 신분 체계의 변동, 빈부간의 갈등 등 조선 후기 사회상 반영


    ③ 효용론적 관점

    ㉠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효과를 어느 정도 주었느냐에 따라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려는 관점

    ㉡ 독자의 감동이 무엇이며, 그것이 구체적으로 작품의 어떤 점에서 촉발 되는가를 검토

    (예) '춘향가'의 희극적 장면은 독자에게 비극적 상황으로부터 희극적 구제, 낭만적 희극성에의 몰입 등의 효과를 줌


    ●내재적 관점:작품 자체만을 연구함


    ① 절대주의적 관점

    ㉠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작품밖에 없으며, 작품 속에 모든 것이 갖추어져 있다는 관점

    ㉡ 작품을 작가나 시대·환경으로부터 독립시켜 이해, 작품의 언어를 중시, 부분들을 통합하고 있는 작품의 구조를 분석

    (예) '운수 좋은 날'의 '겨울비'는 아내의 죽음과 하층민의 삶을 암시함.







  • 내재적 비평은 작품을 외부환경과 독립시켜서 텍스트나 표현 등 작품 자체에 대해 비평하는 것으로 형식주의 비평이 있습니다. 외재적 비평은 작품 외적인 것과 연결지어 비평하는 것으로 역사주의 비평, 심리학적 비평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