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피뢰침에 맞은 번개의 전류를 다시 사용 할 수 있나요?

높은 건물에 벼락 맞는걸 대비해서 피뢰침을 설치하자나요

피뢰침을 통해서 벼락이 땅으로 내려가서 건물에 피해가 없게 만드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 벼락을 땅으로 흘려 보내지말고 전류를 사용 할 수는 없나요?

요즘 한전 적자라고 전기세 올리는데 이런 방법은 왜 아무도 생각 안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왜 아무도 그런 생각을 안하는게 아니라 그런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번개가 매일 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번개를 저장할 인프라를 만드는 것 자체가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뢰침은 낙뢰를 받아서 땅으로 흘려보냅니다

      전기가 땅으로 다 흘러 가기 때문에 그 전류를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압은 높지만 암페어가 낮아서 가치가 높지 않습니다.

      또한 만약 저장이 된다고 할지언정 어디서 어떻게 칠지 모르는 수전설비를 갖추는 비용이 더 높으므로 수익성이 맞지 않아서 상용화 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뢰침의 원리는 1749년 미국의 과학자인 벤자민 프랭클린에 의해 자세히 알려졌습니다.


      뇌운 사진

      1. 뇌운이 발생하면 구름 상부에 양전하가, 구름 하단에 음전하가 모입니다.구름 속의 물방울과 작은 얼음들이 서로 마찰을 일으키고 전하가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축척된 전하가 다른 곳으로 한꺼번에 이동하는 것을 정전기 방전이라고 합니다.하지만 이 방전은 꼭 피뢰침이나 대지로만 방전하는것은 아닙니다. 구름 사이에서 방전하는 운간방전, 구름 내부에서 발생하는 운 내방 전, 그리고 주위 대기로 일어나는 대기 방전이 있습니다. 이것을 번개라고 부르며, 대지로 떨어지는 방전현상만을 낙뢰라고 하는 것입니다.


      뇌운 사진2

      2. 뇌운이 피뢰침쪽에 접근하면 대지에 양전하가 모이고, 피뢰침도 이 양전하가 유도됩니다. 마찬가지로 정전기 유도 현상의 일종입니다.


      대지 사진

      3. 뇌운에 전하가 점점 쌓이면, 피뢰침으로 불빛과 함께 방전이 발생합니다.


      4. 피뢰침과 연결된 전선과 같은 전기적인 통로를 통해 대지로 방전하게 됩니다.그렇기 때문에 이 통로의 저항을 일정 값 이하로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낙뢰에 대한 오해


      1. 번개는 높은 곳에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반드시 높이가 중요하지는 않습니다.결과적으로 높은 곳에 떨어지는 것이 많을 뿐입니다. 뇌운은 대지로부터 매우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지상 수십 미터 나 수백 미터의 차이 정도로는 높은 곳에 떨어진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2. 낙뢰는 가까운 곳에 떨어집니다. 전하는 가장 짧은 경로로 유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뇌운과 대지와의 거리에 연관이 있습니다.



      3. 피뢰침은 100 % 안전한 것은 아니다. 피뢰침이 있으면 반드시 거기에 떨어지는 일은 없습니다. 피뢰침의 보호 범위는 성능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45 °에서 60 °의 각도라 고합니다. 피뢰침의 높이가 높을수록 보호 범위도 더 넓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다만 피뢰침으로 들어온 전기를 발전하기 위해 장착하여야 하는 장비의 비용을 생각한다면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런 기술은 개발하지 않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