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무띠끄
무띠끄

텔타크론이 유럽에 확산중인데 정확히 어떤 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44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텔타와 오미크론 합성 변종인 텔타크론이 유럽에 확산중인데 정확히 어떤 것인가요?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델타크론은 델타 변이의 몸체에 오미크론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결합한 형태입니다. 한 사람이 델타와 오미크론 두 바이러스에 감염돼 체내에서 변종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됩니다. 델타는 중증화율이나 치명률이 오미크론보다 더 높지만 전파 속도가 느렸고, 오미크론은 그 반대였는데 두 변이의 장점만 서로 섞였다는 겁니다. 위험성이 높은 델타 변이가 기존보다 3~4배 더 빠르게 전파를 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제 델타크론은 국내에서 유행없이 지나갔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델타크론은 스파이크로 알려진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은 오미크론의 특징을, 나머지는 델타의 특징을 지녔습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인체에 침투할 때 핵심요소로, 감염과 백신을 통해

      생성되는 항체의 주요 표적입니다. 이 스파이크 단백질이 오미크론과 거의 같기에 백신 또는 감염으로 오미크론에 대한 면역력이 생긴 사람에게 델타크론은 종이호랑이에 불과하다는 평가입니다.

      같은 이유로 델타크론은 코, 구강, 후두를 뜻하는 상기도까지는 잘 침투해도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지 않는 오미크론의 특징을 공유하기에 위중증 유발률도 낮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기존에 항체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델타크론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큰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추후 데이터를 봐보긴 해야합니다.

    • 최근 미국에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인 델타크론은 오미크론과 델타가 결합한 유전자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는 신종변이 바이러스입니다.

      아직 이전의 오미크론보다 전염성이나 치명적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오미크론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측은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확인된 사례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최슨 델타크론에 관한 뉴스가 많았지요. 델타크론은 델타변이와 유사한 genome과 오미크로의 임상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있어, 더 높은 감염률을 보여 새로운 변이인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일각에서는 실험과정에서 오염(contamonation) 에 따른 것이며 새로운 변이가 나타난 것은 아니다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결과는 조금더 기다려봐야 할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섞인' 델타크론(Deltacron)' 변이가 해외 각국에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국내 유입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다만 방역당국과 전문가들은 바이러스가 국내에 유입되어도 위험도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델타크론은 지난 1월 레온디오스 코스트리키스 키프로스대학 생명공학과 교수가 혼합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보고하면서 알려진 바이러스로, 바탕은 델타 변이인데 오미크론 돌연변이 요소가 섞인 바이러스를 뜻합니다.

      아직 델타크론 변이의 치명률, 전염성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수치로 제시가 어렵습니다.

      또한 해당 변이의 특징 또한 정리가 되지 않았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델타크론은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지만 이름을 붙이기 좋아하는

      연구자들에게서 나오게 되며 혼란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이런 변이는

      반복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이지만 치료가 다르지 않으며 치명률 역시 오미크론과 같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델타크론은 키프로스라는 나라에서 1월달에 보고된 바 있으나 당시에는 실험실 오염으로 인한 변이로 간주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델타와 오미크론의 특징을 둘 다 가진 바이러스가 유럽등 각국에서 발견되어 다시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아직 전파력이나 치명률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1월에 발견된 후에도 치명적인 경과를 보이진 않아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을 많이 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19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섞인 이른바 ‘델타크론’ 변이가 유럽과 미국에서 발견되고 있다. 델타 변이의 치명성과 오미크론 변이의 전염력을 고려할 때 두 가지를 모두 가진 새 변이가 가질 위험성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다만 전문가들은 새 변이의 현재까지 전염속도와 유전자 유형 등을 볼 때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12일(현지시간) 델타크론에 대해 전하면서 “전문가들은 새 변이가 큰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델타크론이 맨 처음 보고된 곳은 지난 1월 동지중해의 섬나라 키프로스공화국이었지만 이는 잘못된 실험실 작업에 따른 오류로 판명났다.

      이후 지난 2월 미국 워싱턴DC 공중보건연구소의 과학자 스콧 은구옌이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GISAID)의 코로나바이러스 게놈 데이터베이스를 살펴보다 1월 프랑스에서 수집된 샘플에서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가 혼합된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

      이를 놓고 처음엔 두 개의 변이에 동시 감염된 환자의 샘플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그러나 결국 각각의 바이러스가 두 가지 변이로부터 나온 유전자 조합을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NYT는 과학자들이 이 같은 바이러스를 ‘재조합형(recombinants)’으로 부른다고 전했다.

      델타크론은 이후 네덜란드와 덴마크에서도 발견됐다. 그러나 최근까지 델타크론 확산세는 위협적이진 않다. 지난 10일 현재 국제 바이러스 시퀀스 데이터베이스에 보고된 델타크론 샘플은 프랑스 33건, 덴마크 8건, 독일 1건, 네덜란드 1건 등이다. 미국에서도 2건 발견됐다고 로이터통신도 최근 보도했다.

      지금까지 50건 정도 확인된 셈이다. 전문가들도 새 변이가 이름과 달리 크게 두려워하지 않을 만한 이유가 많다고 언급했다.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의 바이러스학자 에티엔 시몬-로리에르는 “완전히 새로운 걱정거리는 아니다”면서 그 이유로 델타크론 발생이 매우 드물다는 점을 댔다. 그는 이 변이가 최소 1월부터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기하급수적으로 확산할 능력을 아직까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시몬-로리에르 박사는 또 이 재조합형 바이러스의 게놈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새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가 거의 대부분 오미크론에서 유래됐다는 점에서 감염 또는 백신을 통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항체를 보유한 사람들은 델타크론에 대해서도 보호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델타크론 변이 역시 오미크론과 같은 스파이크 단백질 특성을 갖고 있어 코나 상기도에 쉽게 침투하는 반면 폐 깊숙한 곳으로는 잘 침투하지 않아 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적다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511490

    • 델타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이 섞인 혼종 변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감염된 환자의 수가 많지 않으며, 특히 국내에는 단 한 명의 확진자도 존재하지 않아 구체적인 정보가 많지 않습니다. 경과를 더 지켜보아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델타크론이 최근 미국과 유럽 등에서 전파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전파된지 얼마 되지 않아 치명률에 대한 정보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전문가들은 새 변이의 현재까지 전염속도와 유전자 유형 등을 볼 때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은 적다고 예상합니다

      델타크론 변이 역시 오미크론과 같은 스파이크 단백질 특성을 갖고 있어 코나 상기도에는 쉽게 침투하는 반면 폐의

      깊숙한 곳으로는 잘 침투하지 않아 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델타변이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새로운 변이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특별히 감염력 및 전파력 그리고 치사율에는 아직까지 큰 특징이 나타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즉 오미크론과 비슷하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다만 조금 더 연구는 진행되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새 변이가 등장했다.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가 섞인 '델타크론' 변이가 미국과 유럽에서 발견됐다. 델타크론의 전염력이나 위험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다만 전문가들은 앞선 변이들만큼의 위험성은 아닐 것이라고 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793830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델타크론 변이 바이러스라고 알려진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하여 유행중인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특징이 서로 섞인 변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델타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모두 나타난 변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아직까지 정확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으나 치사율이 높아지거나 지금보다 확산력이 더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미 오미크론으로 인하여 전세계를 강타하여 대부분 사람들이 항체를 보유하고 있어 추후에 나타나는 변이의 파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델타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이 합쳐진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아직까지 정확히 어떤 특성을 가진 바이러스인지 알 수 없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델타크론은 델타변이와 오미크론변이가 조금씩 섞인 변이종으로 유럽은 1월부터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감염사례가 많지 않기때문에 우려할 정도는 아니며 치명률도 집계되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델타크론은 코로나19의 변이 중 델타변이의 몸체에 오미크론의 외부단백질 특징을 모두 보이는 새로운 변이입니다. 유럽에서 확산되고있으나 감염사례가 많지 않으며 걸린다고 하더라도 경증의 증상을 보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아직 명확하게 알려진바는 없지만 델타와 오미크론의 변이이므로 치명률이 크게 높진 않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는 비말감염이 주된 감염 경로입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델타크론은 미국과 유럽에선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 유전자가 섞인 '델타크론' 바이러스가 발견됐습니다.

      바이러스 간 재조합으로 변이된 것으로, 이런 경우는 드문 일로 알려졌습니다.

      아직은 전 세계에서 발견된 델타크론이 매우 적어 구체적인 위험성과 전파력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GISAID)에 따르면 이달 10일까지 프랑스에서 33건, 덴마크 8건, 독일 1건, 네덜란드 1건, 미국 2건 등이 보고됐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전염성이나 중증화 능력, 면역 회피 능력 등에 대해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델타와 오미크론이 결합된 델타크론의 변이가 발견되었습니다.

      2. 하지만 이 변이바이러스는 정확한 연구결과가 아직 존재하지 않아 정확히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델타보단 치명률이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델타크론은 이미 1월부터 발생햇다고 보고된적이 있습니다. 말씀하신데로 델타와 오미크론이섞엿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거라고 예측하며, 오미크론 항체 보유자는 델타크론도 보호할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델타의 치명력과 오미크론의 전염성을 갖고있다고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가 거의 대부분 오미크론에서 유래됐다는 점, 감염 또는 백신을 통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항체를 보유한 사람들은 델타크론에 대해서도 보호 능력을 갖고있다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미국과 유럽에서 코로나19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섞인 '델타크론(Deltacron)'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코로나의 새로운 변종이 또 발견된 것인데 아직 델타크론의 위험성이나 전파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오늘 13일 외신에 따르면 각국 보건당국이 델타크론 변이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델타크론은 지난해 여름과 올겨울 코로나 확산을 일으킨 변이들이 섞인 변종이다.

      델타크론은 지난 1월 지중해에 있는 나라인 키프로스공화국에서 최초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전 세계의 우세종이던 델타 변이와 현재 세계 우세종인 오미크론이 혼합체인 변이의 출현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미국 연방질병통제센터(CDC)와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재 델타크론을 관심 변이 혹은 위험 변이로 분류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마리아 밴 커코브 WHO 코로나19 기술팀장은 "프랑스와 네덜란드, 덴마크 등 지역에서 델타크론이 확인됐지만 매우 적은 수준이다"고 말했다. 커코브 팀장은 "WHO는 이 혼합변이를 추적하고 있고 이 변이의 중증도는 다른 변이와 다르지 않다"고 덧붙였다.

      https://www.fnnews.com/news/202203131118008703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새로운 변이가 발견된 상태입니다. 델타와 오미크론이 합쳐진 종류로 생각되나 아직 유행은 안 한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 전에는 독감과 코로나가 합쳐진 플루로나도 발견은 되었지요. 아직 전염력이나 치명률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