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예쁜멧돼지201
예쁜멧돼지20123.03.06

인플레이션이 언제쯤 완화 될까요

요즘 금리가 오르는 것이 인플레이션을 잡을라고 그런답니다 정말 미치겠네용 대출이자는 계속 오르고 미국 정분 생각이 있는지 돈은 자기가 다 풀어 놓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말씀해 주신 것과 같이 미 연준의 장난질이라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 때 0.5%p 금리 인하 자기들이 먼저 해놓고 이제와서 물가 타령인데, 솔직히 연준 = 미국 정부 기관이 아니라 '사기업'이라고 이 연준 이사들의 이익을 위한 통화정책을 펼치는 과정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러다가 어느 순간 미래 경기 침체가 예상된다, 금리 동결 or 인하하겠다 이럴 것입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안정되는 신호가 보이면이라는 전제가 있어야할것같습니다.세계경제보다 미국의 자국경제가 우선이고 정치적인 자국부흥정책을 정권이 바뀌어도 펼치고있으니 전쟁이 끝나가고 경제에 활기가 더해지고 물가안정이 보이면 금리인하를 단행할것같습니다.상반기는 아니고 하반기에나 가능할듯 예상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현재 우리나라 기준 5%초반 미국의 경우 6%를 보내고 있지만, 점차 하락흐름을 보이고 있어 연말에는 현재 대비해서는 다소 안정화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미국 때문에 전세계가 힘든 상황입니다. 미국은 다른 나라는 생각하지 않고 자국만 생각하며 금리를 계속 인상하고 있는데요. 이러다가 전세계 글로벌 위기가 다시 오지 않을까 심히 염려됩니다. 물가가 잡혀야 금리 인상이 멈출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올해 하반기는 되어야 어느 정도 물가도 안정되고 기준금리 인상 기조도 주춤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이 더디고 미국의 빠른 기준금리 상승으로 인해서 달러환율이 상승하고 있는 만큼 인플레이션이 재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작년 12월부터 정부가 건설사와 저축은행을 살리기 위해서 예금금리를 누르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기준금리 인상과는 정반대의 정치개입으로 금리가 내려가게 되다 보니 인플레이션이 전혀 억제가 되지 않아 오히려 2월의 인플레이션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속도라면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기 까지는 최소한 올해 하반기쯤이 되어야지만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며, 정부가 금리를 누르지 않고 시장의 논리에 맡긴다면 조금 더 빠르게 완화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번 다행히 4.8%로 낮아졌습니다.

    한국은행은 이번년 하반기까지 3.5%로 목표를 잡고 있어서

    내년 상반기는되어야 2%대로 안정권에 들것으로 보입니다.

    이것도 변수가 없는 조건이라

    이번 미국cpi와 파월의장 연설에 따라 달라질 것인데

    개인적으로는 강달러가 한번 다시와서 수입물가가 올를 것으로 예상되어 보다 물가 안정은 더뎌 질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