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은 오슬로평화협정을 했음에도 왜아직까지 분쟁을 하고 있는건가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은 현재까지도 유혈분쟁을 하고 있다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1993년에 '오슬로평화협정'을 체결했는데

명확히 문서화되었음에도

합의안을 이행하지 않고 현재까지 분쟁이 지속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평화보다는 자기들의 이익을 위한 세력이 있기 마련입니다.

      오슬로평화협정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습니다.

      예루살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에 그 곳을 탈환하기 위한 전쟁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오슬로협정을 성립시킨 아라파트 수반과 라빈 총리는 1994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협정으로 이스라엘 극우파의 반발을 산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1995년 11월 암살되고, 뒤이어 집권한 우파연합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팔레스타인 당국으로의 점령지 반환을 거부하면서 협정의 이행은 교착상태에 빠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뒤이어 1996년 하마스의 자살폭탄테러 등이 발생하는 등 오슬로협정 이행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고 합니다. 이후 2003년 미국ㆍ이스라엘ㆍ팔레스타인이 '중동평화 로드맵'에 서명함에 따라, 이스라엘은 1967년 3차 중동전쟁 당시 점령한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의 예리코에서 2005년 9월 완전 철수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슬로 평화 협정이후 1995년 11월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이스라엘 극우파에 의해 암살되고 1996년 하마스 자살폭탄 테러 등이 발생하는 등 협정 반대세력의 공세로 이행에 난항을 겪게 되었고 1996년 이스라엘 총선에서 극우 강경파 네탄 야후가 총리로 당선되면서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면서 협정이 거의 무력화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