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건강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건강상담
부유한원숭이133
부유한원숭이13323.09.05

신사구체여과율 관련해 문의드립니다

나이
30
성별
여성

얼마전 단백뇨가 나와 신장내과에서 혈액검사와 소변검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정량검사에서 단백뇨도 나오지않고 모든게 정상이라 하셨지만 혈청크레아티닌 수치는 0.7인데 신사구체 여과율은 98로 작년부터 계속 하락세입니다


2021년

혈청크레아티닌 0.6

신사구체여과율 126


2022년

혈청크레아티닌 0.7

신사구체여과율 105


2023년

혈청크레아티닌 0.7

신사구체여과율 98


이렇게 계속 큰폭으로 하락하는데 낮아지는 수치에 너무 걱정되요ㅠㅠ저 괜찮을까요..?

신사구체여과율을 다시 높일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철희 의사입니다.

    신사구체 여과율에 대해 문의 주셨는데요, 걱정이 많이 되셨을 것 같습니다.

    신사구체 여과율(eGFR)과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신사구체 여과율은 원래 신장기능이 안 좋은 사람을 선별하는데 중점을 둔 검사입니다. 따라서 정상 범위에서도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경우에는 이 검사의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검사 결과에 따르면, 크레아티닌 수치와 신사구체 여과율 모두 정상 범위에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겠습니다. 만약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문제가 생길 경우에는 적절한 진료와 치료를 받으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신사구체 여과율은 단순히 크레아틴으로 계산한 값입니다. 혈중 크레아티딘 레벨은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신기능 악화에 대해서 크게 우려하실필요는 없습니다.

    크레아티닌 수치를 이용하여 신사구체여과율을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신사구체여과율 (ml/min/1.73㎡) = 141 × (90 - 나이) / 크레아티닌 (mg/dL)

    혈액검사가 신사구체여과율을 직접 측정한 것이 아니라 크레아티닌으로 계산한 결과에 불과합니다.


  • 당장은 크레아티닌 수치 및 신사구체여과율이 정상적인 상태로 심각한 상태가 아니며 문제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서서히 감소 추세에 있긴 한 만큼 관련하여서는 계속 추적관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노화에 의해서 신사구체여과율이 점점 줄어드는 것은 피할 수 없긴 합니다만, 주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