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운의 사진을 보게되면 빨간색으로된 형태가 많이 보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성운의 사진을 보게되면 여러색이 있긴하지만 유난히 빨간색으로 된 형태로 많이 보이는경우가 많던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운은 불안정한 상태의 수소 가스가 다시 안정된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남은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합니다. 이 중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 바로 붉은빛의 성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운 사진에서 빨간색이 많이 보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때문입니다.
첫째, 성운 내 주요 구성 요소인 수소 가스가 붉은색 빛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수소 원자는 자외선에 의해 전리되어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다시 안정된 상태로 돌아가면서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합니다. 이때 방출되는 빛의 대부분은 붉은색 파장에 속하기 때문에 성운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둘째, 먼지 입자에 의한 빛 산란 때문입니다. 성운에는 먼지 입자들이 존재하며, 이 먼지 입자들은 푸른색 빛보다 붉은색 빛을 더 효과적으로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 성운의 빛은 푸른색 빛보다 붉은색 빛이 더 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처럼 성운 사진에서 빨간색이 많이 보이는 이유는 성운 자체의 특성과 빛 산란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운은 주로 수소나 헬륨가스가 넓게 퍼져있는 형태인데,
주변 별에서 오는 자외선에 의해서 이 수소원자들이 전리되어 이온화가 되고 재결합을 하면서 방출하는 빛이 붉은색입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운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빨간색은 낮은 온도를 나타내며, 성운 내에서 빨간색은 주로 냉소성 별이나 적색거성과 같은 낮은 온도의 천체들이 방출하는 빛 때문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빨간색은 더 긴 파장을 가지는 빛으로, 성운 내의 먼 거리에 있는 물질이나 먼 지역의 별들의 빛이 빨간색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운에서 볼 수 있는 빨간색 빛은 주로
수소 원자에서 발생합니다.
우주에서
풍부하게 존재하는 수소는 원자의 전자가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떨어질 때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발머 시리즈’의 하나인
발머 알파선 또는 H-alpha선으로
알려진 빨간색 빛입니다.
이 빛은 약 656.3 나노미터의
파장을 가지는데 이는 인간의 눈에 가장 잘 띄는 파장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천체 사진에서 가장 강렬하게 나타나는
색상이기도 합니다.
성운 내부에서 뜨거운 별들이나 다른 에너지원에 의해
수소 가스가 여기되면 수소 원자는 에너지를 흡수한 뒤
다시 방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빨간 빛이 성운의 빨간색으로 나타나
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많은 천체 사진이 특정 파
장의 빛을 강조하기 위해 필터를 사용하
거나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 색상을 강화하기 때문에 실제 우주의 색은
우리가 보는 사진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수소의 H-alpha선에 대한 반응은 천체 사진에서
빨간색이 유난히 돋보이는 중요한 원
인 중 하나입니다.
답변이 마음
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공간에 떠도는 가스의 대부분이 수소이기 때문입니다.
수소에 의해 옅은 빨간색으로 찍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