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엉뚱한두루미2025
엉뚱한두루미2025

관세15%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뉴스기사를봤는데 미국과 관세가 15%라고 하던데요. 15%로 확정이된다면 우리나라에서 수출할때 어떤 경제영향을 미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 15% 확정으로 수출기업들, 특히 자동차 등 주력 산업에서 마진 하락, 경쟁력 약화, 협력업체 비용 부담 증가 등 경제적 부담이 커졌습니다. 기존 무관세보다 불리해졌지만, 25% 관세 위험은 피하며 불확실성은 해소된 상황이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관세가 15퍼센트가 되면 우리나라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선방하였지만 수출할 때에 그 만큼

    우리 수출 기업들에 손실이 발생할 것이 전망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 우리나라 대미 수출 비중이 약 18프로가 좀 넘더라구요 그리고 관세 15프로는 다들 어느정도 예상한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우리나라 수출에 크게 영향을 미칠 관세는 아니라고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15% 관세가 고정되면 한국 수출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예측 가능한 가격 경쟁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기업 투자 결정과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관세가 15% 부과되면 우리나라 수출품이 미국 시장에서 비싼 가격으로 거래가 될 수 있습니다.

    품질은 그대로인데 가격만 오르는 것이니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을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매출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국내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가격을 인하할 수 있으나

    원가는 그대로인데 판매가를 인하하는 것이니 기업의 영업이익이 줄어들어 장기적으로 큰 손해를 입게 되겠지요.

    특히 많은 고용이 창출되는 분야인 제조업 등에서 기업이 타격을 입으면 고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국내 실업자가 증가하는 등 사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자국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더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산업이 크게 발전할 수 있겠지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 15%는 생각보다 꽤 높은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수출할 때 그만큼 가격이 붙는다는 얘기니까, 결국 미국 소비자 입장에선 우리 제품이 15% 더 비싸지는 겁니다. 특히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철강, 배터리 소재, 기계류, 자동차 부품 같은 품목은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바이어들이 다른 국가 제품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생기고, 중소 수출기업은 납품 단가 협상에서 밀릴 여지도 생깁니다. 물론 이게 모든 품목에 일괄 적용되는 건 아니고, 특정 산업에 제한된 경우가 많긴 하지만, 관세 15%라는 수치는 분명 기업 입장에선 수익률을 깎는 부담입니다. 수출 총량이 줄어들거나 가격을 맞추기 위해 마진을 줄이는 식의 대응이 이어질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의 실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국 협상에서 이 비율을 더 낮추거나 특정 품목 예외를 확보하는 게 관건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가 부과되면 우리나라에서 미국에 수출하는 상품들의 미국 내 판매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미국이 전세계를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제품의 가격만 올라가는 것은 아니므로 영향은 생각보다 덜 할수 있습니다. 미국 내 생산 판매 제품보다는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수 있습니다.

    한편 증시에도 영향이 있을수 있으나 기존 25% 관세 검토에서 15%로 줄인것이기 때문에 증시는 오히려 반등해줄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25% 부과한다고 하던 미국에서 15%로 최종 타결한것은 상당히 긍정적인 상황입니다.

    다만 이러한 15%는 산업별 차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핵심 산업에 대하여 타격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켜볼 필요성은 있다고 봅니다. 단기적으로는 이러한 무역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무역시장에 좋은 영향으로 보일 수 있으나 어찌되었든 기존보다 부담이 가중되는 것으로 수출시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