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흑변 내시경 외 다른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낮에는 정상변 혹은 설사
점심 식사 이후 흩뿌려지는 흑변을 본지가 3~4년 된거 같습니다.
작년 종합검진에서 표재성위염, 대장 용종 외에는 이상이 없었는데
따로 다른 검진을 받아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현재 설사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라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이 있겠으나, 흑변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면 대장내시경 및 위내시경을 다시 받아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특히 흑변의 경우 장 출혈의 원인으로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 내에 원인 파악을 위한 내과에서의 진료를 같이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동봉된 대변 사진이 없어 흑색변 여부를 알기 어려우나 반복된다면 위 내시경 검사 외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흩뿌려지는 흑변을 본지가 3~4년 된 것 같아서 걱정이 되시는 모양입니다
흑색변이 걱정이 도는 것은 위장관출혈이 있을까봐 그런 것인데요
이는 혈액이 소화기관을 거치면서 흑색으로 변해서 그렇습니다
결국 흑색변이더라도 분변잠혈검사가 음성이라면 의미가 없습니다
이 경우는 흑색변이 아니라 색깔이 어두운 변입니다
따라서 위내시경 대자내시경이라던가 다른 검사에 이상이 없다면
대변검사를 확인해보세요 잠혈검사 음성이면
대변색깔이 어두워도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질문자분의 경우, 흑변은 일반적으로 위장 출혈의 징후일 수 있어요. 장기적으로 흑변이 지속되고 있다면 출혈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전 종합검진에서 발견된 표재성 위염이 자주 발생하는 출혈의 원인일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정말 출혈을 유발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장 용종도 주시해야 할 부분이지만, 흑변과 직접적인 관련성은 적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용종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흑변은 상부 위장관 출혈에서 흔히 나타나므로 위장 내시경 외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를 확인하거나, 추가적인 위장관 문제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추가 검사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점심 식사 이후 일시적으로 흑변이 나타난다면, 식사와 관련된 특정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섭취하고 있는 음식이나 약물, 건강 보조식품에 대해서도 주의 깊게 살펴보시는 것이 중요해요. 평소 복용 중인 약물이나 식습관에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증상이 더 악화되거나 지속된다면 전문의와 상담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장기적으로 흑변이 지속되고 있다면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흑변은 소화기관 내 출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부 위장관 출혈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위장 상부의 출혈을 확인할 수 있는 내시경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미 진행하셨다고 하니, 대장 내시경 검사를 통해 하부 위장관의 문제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만약 흑변이 계속되고 증상에 변화가 없다면, 다른 형태의 영상 검사나 혈액 검사를 고려하여 출혈의 원인을 명확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인 검사 여부는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대변 잠혈 검사 받아보셨을까요? 우선 흑색변이 진짜 혈변인지 확인하시는게 중요해 보입니다. 만일 진짜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이라면 작년 검사가 정상이라도 여전히 위장 출혈이나 다른 내장 질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소화기 내과 진료 및 검사 등을 다시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