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유산균은 왜 장까지 살아가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인가요?

식품 등을 통해 수천억개를(광고에서 제시하는 숫자를 믿자면) 섭취하더라도 좋은 유산균이 장까지 살아서 가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하는데요. 심지어 유산균을 보호하는 물질(광고에서는 캡슐이라고)을 만들어도 살아서 장까지 도달되는 것이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산균이 장까지 살아서 도달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소화 과정에서 겪는 여러 가지 환경적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일차적으로 유산균은 위산에 의해 분해됩니다. 위는 음식물 소화를 위해 매우 강한 산성 환경(pH 1.5~3.5)을 유지하는데요, 이로 인해 많은 유산균은 이러한 산성 환경을 견디지 못하고 사멸합니다. 위산은 음식물과 함께 들어오는 병원균을 죽이는 중요한 방어 기제이지만, 동시에 유산균에도 큰 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유산균이 위산에서 살아남았다고 해도 쓸개즙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각종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섭취하는 유산균의 총량에 비해서 현저히 적은 수만이 생존 가능한 것입니다.

  • 유산균은 장까지 도달하기 위해 많은 소화기관을 거치게 됩니다. 먼저 위를 거쳐가는데, 위장은 살균작용도 병행하기 때문에 산성도가 매우 높습니다. (pH 1.5~3.5) 이 산성 환경은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죽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산균도 예외가 아닙니다. 위를 통과하고 나면 유산균은 소장으로 이동하고 이곳에선 담즙산을 만나게 됩니다. 이름 그대로 산입니다. 항균성을 가진 산성에 의해 위를 거쳐 생존한 유산균의 생존이 어렵습니다.

  • 유산균이 장까지 살아가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유산균은 위의 강한 산성 환경을 견디기 어렵습니다. 위액의 pH는 1.5~3.5로 매우 낮아 대부분의 유산균은 위에서 사멸하게 됩니다. 둘째, 유산균은 담즙산에도 취약합니다.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담즙산은 유산균의 세포막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산균이 장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위산과 담즙산을 모두 견뎌내야 하는데, 이는 쉽지 않은 과정입니다. 캡슐화 등의 방법으로 유산균을 보호하려 해도 완벽한 보호는 어려우며, 개인의 위장관 환경에 따라서도 유산균의 생존율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유산균 섭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산균의 종류, 섭취량, 제형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위산은 소화를 돕는데 중요하지만, 유산균이 살아남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어려울 정도로 강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소화효소는 음식물을 소화하는데 필요하지만, 유산균이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모든 유산균이 살아서 장까지 가기 어려운 이유는 바로 위산 때문입니다. 위는 위산을 분비하며 산도가 높은 환경을 조성하는데 유산균이 이러한 환경을 살아남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위산 분비가 적은 아침 공복 시간대에 유산균 섭취를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 유산균이 장까지 살아가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유산균을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을 배양해 농축된 형태로 건조하거나, 급속 냉동된 형태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으로 가공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분쇄, 고온, 고압 등 물리적화학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유산균이 죽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보관 및 유통 중 온도와 습도를 관리하지 못하면 유산균의 생존율은 더욱 떨어집니다.

    또한 유산균이 장에 도달하더라도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장에는 다양한 소화효소와 담즙산이 있어 유산균이 사멸할 가능성이 높으며 장에 있는 기존의 미생물들과 경쟁하면서 장 상피세포에 정착해야 합니다.

    따라서, 유산균의 효과는 장까지 살아 도달하는 능력과 장 상피세포에 정착하는 능력이 향상되어야만 하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중 하나로, 유산균을 코팅하는 기술이 개발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과정을 거치는데,

    이 때 분비되는 소화액들에 의해 유산균도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에 의해 대부분의 유산균이 죽고, 단백질이 분해되며

    소장에서 분비되는 지방분해 효소로 세포막 대부분이 분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