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 성장률이 떨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OECD가 올해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다고 합니다.
2010년대의 3%대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데 선진국 중에서도
하락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특히 2030년 이후에는
잠재 성장률이 1% 이히로 떨어진다는
KDI 전망도 있는게 현실인데
우리나라 잠재 성장률이 빠르게
떨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인구구조가 일할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부양이 필요한 사람들의
비중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결국 노인인구가 높아진다는 것은 국가의 동력이 감소한다는 것이고 이는 경제성장율의
감소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1%대 성장에서 빠르게 마이너스 즉 역성장까지 도달할 수 있는 인구구조의
형태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잠재 성장률이 떨어지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우리뿐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겪는 현상으로
이미 경제가 많이 성장한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로 성장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주된 이유는 구조적인 인구 문제와 생산성 정체에 있습니다.
특히 인구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경제 활동의 중심이 되는 15세~64세 인구가 줄어들고, 이는 노동 공급의 축소로 이어지며 잠재 성장 능력을 떨어뜨리기 때문 일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잠재성장률이 높은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조 생산 업체의 성장률이 높아야 하는데 소비쿠폰 같은 돈을 뿌리는 것을 하기 때문에 잠재성장률이 낮을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주요 이유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로 생산가능인구와 노동력 투입이 줄어들고, 자본투자 감소와 산업 혁신•생산성 정체, 산업 경쟁력 약화 등 구조적 문제가 겹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경제 기초체력이 약화되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잠재성장률이 1%대까지 하락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잠재성장률의 핵심은 인구구조와 고부가가치 산업군의 성장력인데
한국은 인구에서 이미 생산성이 많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60,70년대생들이 인구의 1/5을 차지할정도로 많아지며 점차 초고령화사회로 빠르게 진입할 것입니다. 그런데 아이는 없으니 생산성은 낮으면서도 젊은세대의 부양 세금이 높아져 점점 가난해지는 것입니다.
두번 째는 고부가가치산업군이 너무 약하다는 점입니다. 아직도 제조업에 머무르고 있고 대기업을 제외한 굵직하고 고부가가치산업군의 중견기업 육성에 실패했습니다.
비율자체가 중견이 높아야 하는데 너무 낮으며 이를 위한 육성하는데 이제 조금씩하는 실정이라 사실 늦었다고 보여지죠.
이렇듯 경제력이 점점 떨어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경제규모가 커지며
선진국화 되면서 이에 따른 성장률이 저조한 것이며
더불어서 출산률 문제 및 고령화 문제도 있기에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