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의로운청설모283
의로운청설모283

밀가루의 영양가가 궁급합니다.

밀가루를 많이 먹으면 건강 및 영양에 안좋다고 하는데

밀가루는 유해한 음식인지 영양가에 대해 궁금합니다.

답변을 기다립니다. 감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일 영양사입니다.

      제과, 제빵, 면 등의 재료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파스타의 주재료로 쓰이는 밀가루는 이탈리아의 기후에서 잘 자라는 듀럼이란 딱딱한 밀로 만드는 세몰리나다.

      밀가루를 분류하는 데 기준이 되는 글루텐은 밀 단백질이다.


      밀 주요 영양 성분

      단백질 65% 이상, 비타민 B2, 비타민 B6, 미네랄, 토코페롤, 비타민 E


      밀 효능

      노화 방지, 유해 산소 제거, 변비, 치질, 대장암 예방, 면역력 강화, 소화관 활성화


      밀 약점 & 부작용 & 주의할 점

      피와 살이 되는 단백질이 양적인 면에선 부족하지 않지만 질이 떨어진다. 밀의 단백질을 나타내는 지표 단백가는 57, 밀가루 41로 쌀 73보다 낮다. 빵, 과자 등을 만들 때 계란, 우유 등 동물성 단백질 식품이나 콩가루, 메밀가루 등 식물성 단백질 식품을 첨가하면 밀의 단백가를 높일 수 있다. 우리 조상이 밀가루 반죽에 콩가루 등 다양한 부재료를 넣은 것은 놀라운 생활의 지혜라고 볼 수 있다.

      열랑이 꽤 높은 편이다. 100g당 열량이 376kcal로 백미 372kcal와 차이가 없다.

      밀가루 음식을 많이 먹으면 속이 더부룩해질 수 있다. 밀가루만으로 제조한 면을 먹고 소화불량을 경험했다면 쌀가루, 찹쌀가루 등 다른 곡물 가루를 함께 넣어 면을 만들어 보는 것이 좋다.

      밀에 포함된 글루텐은 일부 민감한 사람들에게 알레르기나 심한 위장 질환 중 하나인 셀리악병을 일으킬 수 있다.

      혈관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지방이긴 하지만 오래 보관하면 산화, 변질되기 쉽다.

      백미보다 현미가 건강에 이롭다는 것은 상식이다. 마찬가지로 밀가루보다는 통밀, 밀기울, 밀 배아 등 거칠고 덜 도정된 것이 건강에 유익하다. 하지만 통밀을 그대로 먹는 일은 거의 없다. 밀 제분의 부산물인 밀기울(껍질)부분도 너무 거칠어 과거엔 위, 장 건강에 나쁘다고 여겼다. 그래서 지금도 가축의 사료로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최근 서양에선 '밀기울은 변비 예방, 귀리기울은 콜레스테롤 개선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밀의 씨눈, 즉 밀 배아엔 '회춘 비타민'이자 '항산화 비타민'으로 알려진 비타민 E가 풍부하다. 밀 배아유도 시판 중이다. 밀 배아엔 옥수수 배아처럼 지방이 많이 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