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카타르 등은 선진국입니까?
사우디, 카타르 등은1인당 GDP가 높은 나라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선진국으로 분류를 하고 있지 않은지?
돈만 있다고 선진국이 아닌거 같은데 어떤 조건이 더 있어야 합니까?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진국과 같은 경우에는 단순히 GDP만으로
평가하지는 않으며 정확한 판단기준은 없습니다만
인간개발지수, 중산층의 비율, 교육수준 등 여러가지를
토대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1인당 GDP는 약2만 2천불 수준이고 카타르의 경우 5만불이 넘습니다. 그러나 질문자님 말씀처럼 이들 두 나라를 선진국에 속한다고 언급하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선진국 여부를 구분하는 여러 기준이 있는데 단순히 1인당 GDP는 아닙니다. 대표적인 선진국 지수는 HDI(Human Development Index, 인간 개발 지수)가 있는데 각국의 '(기대수명지수x교육지수x소득지수)/3'으로 구하는데 0.8 이상을 주로 선진국으로 분류합니다.
아래 링크를 보시면 짙은 하늘색이 IMF&UN에서 선진국으로 분류한 국가들이고 주황색은 개발도상국인데 말씀하신 두 산유국은 모두 개발도상국입니다. 참고로 한국과 미국, 싱가폴, 대만은 선진국에 속합니다. 아래 두 개의 인터넷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namu.wiki/w/%EC%9D%B8%EA%B0%84%EA%B0%9C%EB%B0%9C%EC%A7%80%EC%88%9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진국은 고도의 산업 및 경제 발전을 이룬 국가를 가리키는 용어로 그로 인해 국민의 발달 수준이나 삶의 질이 높은 국가들이 해당합니다. 사우디나 카타르는 국가가 잘살긴 하지만 민주주의 지수가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빈부격차와 인권문제가 심하므로 선진국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진국이란 경제개발이 앞선 나라를 의미하는데 1인당 국민소득 수준, 산업인구 구조비율, 자원의 개발상황, 국제정치,경제관계, 경쟁적응력등에 대해서 평가를 하여 결정하게 된다고 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나 카타르의 경우는 1인당 소득수준은 해당이 되나 공업화의 진척도 부분에서 부족한 평가를 받아서 공업화가 진행되지 않은 중동 산유국들은 선진국으로 분류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