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우리나라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3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이유가 뭔가요?

오늘 경제 뉴스를 보는데 1년 3개월만에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지수가 최대치로 상승을 했다도 하더군요.

확실히 최근 다시 물가가 오르는 느낌도 있고 기름가격도 최근에 상승을 하는 거 같은데 우리나라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3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이유가 뭔가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서비스와 석유류 가격 상승 영향으로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15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서비스가 지난해보다 2.5% 올라 전체 물가지수 상승을 견인했고, 석유류도 지난해 기저 효과와 환율 상승 영향으로 4.8% 올랐습니다.

    국가데이터처는 10월 긴 추석 연휴 영향으로 여행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유가 식료품, 공공요금이 동시 상승했고 작년 낮은 비교 기저가 사라졌습니다.

    일부 정책성 할인 항목이 축소되며 지표 상향 압력이 커졌습니다

    근원물가 흐름까지 같이 봐야 향후 경로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10월의 소비자 물가 지수가 오른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직전 달에 민생지원금 등이 시장에 풀렸기에

    물가가 오르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3개월만에 최대치(2.4% 상승)를 기록한 것은 먹거리와 유류비의 상승세 때문입니다. 잦은 비 등 이상 기후 영향으로 쌀, 사과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고, 환율 상승과 유류세 인하 축소로 석유류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여기에 긴 추석 연휴로 인한 여행 및 숙박 등 개인 서비스 비용 상승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가 확대되면서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세가 가팔랐는데요.

    10월에 추석연휴에 따른 소비 증가가 이유입니다. 특히 긴 연휴에 따른 해외여행, 렌트, 숙박비 등 상승이 컸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 급등은 이상 저온 등 기상 이변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과 중동 불안정 및 유류세 환원 영향으로 인한 석유류 가격 변동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특히 채소류를 포함한 농산물 가격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며 서민 장바구니에 큰 부담을 주었습니다.

    여기에 가공식품, 외식 물가, 개인 서비스 요금 등도 높은 상승률을 이어가면서 전반적인 물가 불안정세가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1년 3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 기록을 이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