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강직한꿩279
강직한꿩279

악재가 뜨는데 주식이나 코인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뭔가요?

가끔 악재가 뜨는데...악재가 발표가 되면 오히려 주식이나 코인 가격이 오를때가 많더라구요.

왜 그런건가요?

생각과는 완전히 반대가 되니 신기합니다.

이유를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미 그 악재에 대해서 알만한 사람들은 모두 알고 있는 상황에서 정식 언론보도로 악재가 발표되었을때 해당 악재에 대해 주식가격에 모두 반영되었고 앞으로는 반등할 일만 남았다고 생각하고 투자자금이 몰려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오늘 헌재 탄핵심판 선고가 발표되면서 그동안 많이 올랐던 이재명 테마주가 재료소멸로 오늘 하락한것을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악재가 떴는데도 주가가 안밀리면 오히려 이미 그 악재는 충분히 선반영돼있었다고 보고 지금이라도 매수를 하려고 할수 있습니다. 오히려 악재 해소로 더이상 리스크가 없다고 보는 경우들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악재가 모든 증시나 암호화폐에 악재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 누구에게는 악재이지만 누구에게는 호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이러한 이유로 투자시에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접근해야 한다고 하는 것이고

      악재가 터졌을 때 오히려 호재가 되는 종목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당 투자자는 양쪽으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악재가 발생하더라도 주식이나 코인 상승하는 이유는 이미 해당 악재가 코인이나 주식 등 투자시장에 미리 선반영이 되었다고 판단하거나 해당 악재의 영향이 크지 않을거라는 판단으로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단기적 악재로 크게 의미를 두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관투자자들이 이런 투자 전략을 구사하며 큰 자금이 흐름을 만들면 개인 투자자들도 편승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로인해 악재에도 불구하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악재가 뜨는 것에도 주식이나 코인 가격이 오를 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그런 경우 악재가 이미 선반영 되어서

    악재가 실제 지나가게 되면 악재 해소로 인해서

    되려 가격이 반등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악재 뿐만 아니라 호재도 같이 뜨거나, 또는 그런 악재가 생각보다 주식, 코인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그것도 아니면 이미 선반영되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악재가 뜰경우 이로인한 불확실이 일시적인 요인이고 제거되는것으로 해석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악재가 추후 유동성을 푸는 효과로 작용시키거나 향후 이익전환등으로 해석된다면 호재로 작용하는 동력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악재가 발표 되면 주식, 코인과 같은 위험 자산을 하락을 하는 것이 보통 입니다. 어떤 악재의 경우에는 미리 시장에 선반영 되었기에 악재가 발표 되기 전에 하락 하다가 실제로 악재가 발표 되면 불확실성이 해소 되면서 상승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악재가 이미 시장에 선반영되어 투자자들이 예상보다 덜 나쁜 결과로 인식하면 가격이 반등합니다. 또한, 악재 발표 후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투자 심리가 회복될 수 있습니다. 일부 경우에는 기관 투자자들이 공포에 빠진 개미 투자자의 매물을 저가 매수하며 상승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결국, 시장은 단순한 뉴스보다 기대와 현실의 차이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4.2일 관세정책이 시행되어 악재해소에 따른 가격상승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호재가 없기 때문어ㅣ유동성공급 부족으로 상승폭은 제한되겠지만 단기적인상승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