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원하는것을 다 들어주는건 몇살까지가 적합한것인가요?

원하는 행동, 원하는 물건에 대해서 온전히 수용해주는 시기는 언제까지가 적당하다고 보나요? 어느정도 인지 능력이 생기고, 판단력이 생길때는 거절도 받아들일 줄 안다고 생각이 드는데, 언제까지가 옳은것인지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요구를 온전히 수용해주는 시기는 만 3세 전후 자아와 언어 표현이 막 형성되는 시기까지가 적절합니다.

    이 시기엔 신뢰감 형성이 중요하므로 충분한 수용과 반응이 아이의 정서 안정으로 이어집니다.

    이후 4~5세부터는 선택과 거절을 경험하며 자기조절과 사회적 규칙을 배우는 단계이므로, 단호하지만 따듯하게 "이건 안 돼, 대신 이렇게 해볼까?"처럼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이 바람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는 것은

    아이가 말귀를 알아듣지 못하는 시기 즉, 영아 시기 입니다.

    아이가 만 두돌 이상이 넘어가면 그때는 부모님의 말귀를 알아먹기 때문에

    이 시기 부터는 옳고 그름에 대한 부분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해도 되는 것과 하면 안 되는 것,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알려주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라는 말처럼 아이의 행동은 아이가 어릴 적 부터 잘못된 부분을 그 즉시 알려주고

    이러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실수 하지 않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는 부분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정도 까지라고 저는 생각하는데요. 아이가 원하는것을 다 들어주고 싶어도 여유롭지 못해서 들어주지 못하는 부모들도 있지만 어느정도 소소한 부분은 들어주려고 하는편인것은 어느 부모나 마찬가지 일거에요. 아이가 정말 필요한것을 원할때는 연령을 떠나서 들어주려고 하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는 시기는 대체로 만 3-5세 전후가 적합합니다. 이 시기는 자기조절 능력과 인지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주변 도움과 선택권 제공이 필요하기 떄문입니다. 이후 초등 저학년 이후부터는 점차 '거절과 선택의 균형'을 가르치며, 스스로 판단하고 책임지는 경험을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의 욕구를 온전히 수용하는 시기는 대체로 영아기까지가 적절합니다. 이 시기에는 기본적인 신뢰감 형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원하는 것을 충분히 들어주는 게 중요해요. 유아기,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이어서는 아이가 점차 규칙과 한계를 배우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더 나아가 자기 조절과 사회적 규범을 익힐 수 있도록 이해는 하되, 허용하지 않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즉, 2세 이전까지만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되, 이후에는 공감과 한계 설정의 균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