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엄격한쏙독새144
엄격한쏙독새144

저혈압이 왜 위험한지 알고싶어요 또한 저혈압을 정상수치까지 끌어 올릴수 있는방법?

성별
여성
나이대
52

안녕하세요

저혈압을 정상수치로 끌어 올릴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또한 저혈압이 왜 위험한지 알고싶어요

저혈압이다 말만하지

다른 조치를 안해주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혈압이 낮은 편이라 걱정스러우시군요. 의사들이 저혈압이라는 말만 하고 딱히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저혈압은 고혈압과 달리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편이고, 어지럼증이나 피로감,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자주 유발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꾸준한 운동을 통해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겠으니 유산소운동을 시작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주 3회 이상, 각 30분 이상 심장이 두근거리고 땀이 날 정도의 강도로 운동을 이어가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저혈압을 치료하는 약이 딱히 없습니다. 근육량이 적은 경우에는 근력운동을 충분히 하고, 유산소운동이 부족하셨다면 빨리 걷기 같은 중강도 운동 기준으로는 주 150분이상, 달리기/등산 같은 고강도 유산소운동으로는 주 75분이상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하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완기 혈압은 수축기 혈압에 비해 저혈압 상태를 잘 반영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60mmHg 미만을 저혈압으로 봅니다. 그러나 이런 수치적 정의보다는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생리 기능에 따라 혈압이 낮아지는 것에 대한 적응이 다르고, 증상과 예후도 다릅니다. 저혈압의 원인은 갑자기 발생하는 저혈압과 수축기 혈압이 80~110mmHg 정도인 만성 저혈압으로 나뉩니다. 본태성 저혈압은 인구의 1∼2%가 가지고 있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치료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급성 저혈압이나 쇼크는 외상에 의한 출혈, 위장관 대량 출혈, 체액 감소, 심근경색증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자율신경계 반응 이상으로 발생하는 미주신경성 실신도 포함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앉았다가 일어설 때 중력에 의해 혈액이 아래로 몰리면서 일시적으로 혈압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나이가 들면서 심혈관계의 능력이 떨어져 발생합니다. 식후 저혈압은 식사 후 소화기계로 혈액이 집중되어 다른 장기의 혈액 공급량이 감소하면서 발생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금씩 자주 식사하고 탄수화물이 적은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에 의한 저혈압은 주로 고혈압 약제에 의해 발생하며, 그 외에도 항협심증 약제, 항파킨슨병 약제, 우울증 약, 전립선 비대 치료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저혈압의 증상은 혈압이 낮아지는 속도와 적응 정도에 따라 다양하며, 호흡 곤란, 창백, 어지러움, 두통, 피로감, 피부의 차고 축축함, 가슴 답답함, 미열, 맥의 불규칙함, 메스꺼움, 구토, 집중력 저하, 흐린 시력, 목마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은 병력 청취와 문진을 통해 이루어지며, 혈액 검사로 출혈 여부를 확인하고, 혈당 측정, 직장수지 검사, 심전도와 심초음파 검사로 심장 질환 여부를 확인합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의 경우 기립 경사도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는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 저혈압은 치료가 필요 없으며, 급성 저혈압은 원인을 찾아 교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장관 출혈로 인한 저혈압은 수혈과 출혈 원인 교정이 필요하며, 패혈성 쇼크는 적절한 항균제 치료와 조치가 필요합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에는 염산미도드린이 사용되며, 자율신경 이상으로 인한 저혈압 치료에는 성상신경절 차단 요법이 사용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원인을 파악하고 교정하며, 천천히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이 항상 낮으면서 증상이 없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이나 실신이 발생하면 응급실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저혈압 상태에서는 다리를 높게 유지하고 누워 있는 것이 좋으며, 저혈압 환자는 혈압을 낮출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하지 않습니다. 출혈이나 염증으로 인한 저혈압은 응급수술 가능성이 있으며, CT 촬영 시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 금식해야 합니다. 저혈압이 있고 증상이 있다면 음식물 섭취 없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한 설사나 이뇨제 복용 중 저혈압이 발생하면 소금을 섭취하고 물을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보통 수액을 정맥 주사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 저혈압의 원인은 뚜렷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증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꼭 치료를 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존재한다면 이는 낙상으로 이어지기 쉬워 2차 손상으로 인해 골절이나 내출혈등의 위험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1. 소금을 조금 더 섭취(일반적으로 소금은 건강에 해로우므로 섭취전 의사와 상의하는 것을 권고)

    2. 수분을 조금 더 섭취

    3. 압박 스타킹 착용

    4. 약물 복용

    - 스테로이드, 미도드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