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에서 백출과 마진 중 어떤 것을 더 우선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경영에서 회사의 매출과 회사의 마진은 모두 중요한 요소이겠지요. 이두총 언어가 더 중요하고 귀하게 생각할 것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둘다 중요할 것이나 매출이 많다고 하여
마진이 남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에 따라서 마진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영에서 본다면 매출과 마진 모두 중요하겠지만 이 중에서 더 중요한 것을 꼽는다면 '마진'이라고 볼 수 있어요. 만약 매출이 100억원이라고 할지라도 마진이 0.1%밖에 되지 않는다면 회사는 1,000만원의 이익을 얻게 되겠지만 매출이 10억이라도 마진율이 10%라고 한다면 회사의 이익이 1억원이 되어 큰 차이를 만들기 때문이에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집약적인 산업의 경우는 마진에 최대한
신경을 써서 고마진을 내려 할것이지만 유통산업의 경우는 매출액을 올려서 매입가격을 낮추는 것에 집중합니다
이처럼 기업을 모두 통으로 보긴 어렵고 산업별로 그들의 전략이 다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어느 상태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회사가 급성장하는 시기의 경우에는 마진보다는 매출 성장세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으며, 사업이 안정화 딘계에 이르면 매출보다는 마진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백출은 매출의 오타로 알고 말씀 드리겠습니다. 업이나 회사에 따라 매출과 이익의 중요성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매출성장과 이익을 모두 시현하는 양질의 성장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나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이나 산업 장악을 단기 목표로 하는 회사의 경우 그 둘의 중요성이 다를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의 경우 회사 규모를 빠른 시간 내에 키워 고객층 확보가 필요할 수 있어 큰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매출 성장에 집중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특정 산업을 장악할 목적이 있는 경우 일정 부분 이익을 희생해서라도 매출을 늘려 시장을 장악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과거 한국 반도체 업계가 글로벌 시장 장악을 위해서 비슷한 방법을 사용했고 삼성전자의 전략이 특출났습니다. 대규모 선제적 설비투자를 감행 한 후 부가가치가 높은 반도체 생산을 시작하여 빠른 시간 내에 설비 감가상각을 끝냅니다. 그 직구 가격을 크게 내려 경쟁자들이 따라 오지 못하게 하는 전략으로 유명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둘다 중요하나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을때는 매출신장을 일정규모와 성장이 완료되면 마진에 우선점을 둡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출과 마진은 둘 다 중요한 지표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마진이 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왜냐하면 마진은 회사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높은 매출이 중요하지만, 그 매출이 얼마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경영에서 매출과 마진 중 어떤 것을 더 우선시해야 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마진입니다. 아무리 매출이 많아도 비용으로 다 빠지면
기업의 입장에선 재주는 곰이 부리고 ~ 에 속담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매출이 높아지는 것도 중요하고 마진률이 높은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