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경영에서 백출과 마진 중 어떤 것을 더 우선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경영에서 회사의 매출과 회사의 마진은 모두 중요한 요소이겠지요. 이두총 언어가 더 중요하고 귀하게 생각할 것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둘다 중요할 것이나 매출이 많다고 하여

      마진이 남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에 따라서 마진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영에서 본다면 매출과 마진 모두 중요하겠지만 이 중에서 더 중요한 것을 꼽는다면 '마진'이라고 볼 수 있어요. 만약 매출이 100억원이라고 할지라도 마진이 0.1%밖에 되지 않는다면 회사는 1,000만원의 이익을 얻게 되겠지만 매출이 10억이라도 마진율이 10%라고 한다면 회사의 이익이 1억원이 되어 큰 차이를 만들기 때문이에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기업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집약적인 산업의 경우는 마진에 최대한

        신경을 써서 고마진을 내려 할것이지만 유통산업의 경우는 매출액을 올려서 매입가격을 낮추는 것에 집중합니다

      • 이처럼 기업을 모두 통으로 보긴 어렵고 산업별로 그들의 전략이 다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어느 상태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회사가 급성장하는 시기의 경우에는 마진보다는 매출 성장세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으며, 사업이 안정화 딘계에 이르면 매출보다는 마진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백출은 매출의 오타로 알고 말씀 드리겠습니다. 업이나 회사에 따라 매출과 이익의 중요성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매출성장과 이익을 모두 시현하는 양질의 성장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나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이나 산업 장악을 단기 목표로 하는 회사의 경우 그 둘의 중요성이 다를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의 경우 회사 규모를 빠른 시간 내에 키워 고객층 확보가 필요할 수 있어 큰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매출 성장에 집중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특정 산업을 장악할 목적이 있는 경우 일정 부분 이익을 희생해서라도 매출을 늘려 시장을 장악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과거 한국 반도체 업계가 글로벌 시장 장악을 위해서 비슷한 방법을 사용했고 삼성전자의 전략이 특출났습니다. 대규모 선제적 설비투자를 감행 한 후 부가가치가 높은 반도체 생산을 시작하여 빠른 시간 내에 설비 감가상각을 끝냅니다. 그 직구 가격을 크게 내려 경쟁자들이 따라 오지 못하게 하는 전략으로 유명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둘다 중요하나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을때는 매출신장을 일정규모와 성장이 완료되면 마진에 우선점을 둡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출과 마진은 둘 다 중요한 지표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마진이 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왜냐하면 마진은 회사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높은 매출이 중요하지만, 그 매출이 얼마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경영에서 매출과 마진 중 어떤 것을 더 우선시해야 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마진입니다. 아무리 매출이 많아도 비용으로 다 빠지면

      기업의 입장에선 재주는 곰이 부리고 ~ 에 속담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매출이 높아지는 것도 중요하고 마진률이 높은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