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심장혈액검사 개념 차이 알려주세요
CproBNP와 NTproBNP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
검색해보면 NTproBNP검사만 나오는데 CproBNP로 검사하는 병원은 왜 많이들하는 NT가 아니라 CproBNP를 할까요...???
C-proBNP는 BNP의 활성형인 반면, NT-proBNP는 BNP의 비활성 전구체 조각입니다. NT-proBNP는 반감기가 길어 체내에 더 오래 머물기 때문에 심부전 진단 및 예후 예측에 더 안정적인 지표로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안정성과 예측 정확도를 고려하여 NT-proBNP 검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어떤 아미노산 조각을 타겟팅해서 갯수를 세느냐 차이입니다.
보통 이런 생화학검사의 기본은 채혈한 혈액에 측정하고자 하는 단백질조각에 반응할 수 있도록, 실험실에서 혈액 속 단백질조각과 결합하는 형광물질용액을 혼합한 뒤, 실제 혈액 속 단백질조각의 수가 많으면 형광빛을 강하게 내게 되고, 그 수가 적으면 약한 빛을 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보통 측정하고자 하는 단백질이 매우 작아 실제로 갯수를 재는것은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며, 과거의 수많은 농도 데이터를 보고 정상범위를 역학적으로 의학자, 생화학자, 수의학자 등이 이미 범주화를 시켜두었기에, 측정 값을 보고 정상범위인지 판단하게 됩니다.
여기서 NT, Cpro라고 앞에 붙어있는 용어는, 아미노산의 합성순서에 따라 이름을 붙여논 것입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여러개 구슬을 실에 꿰어만들듯이 만들어지는데, NT는 아미노산의 아미노기 부분, 즉 앞부분을 말하는 것이며, CT나 Cpro는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 부분, 즉 뒷부분을 말합니다. 단백질은 미시적인 관점에선 매우 긴 사슬이고, 모든 아미노산에 염색약을 붙이는 것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가장 특징적으로 머리나 꼬리에 일종에 택을 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 proBNP라는 단백질의 농도가 궁금한데,이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앞부분에 염색약을 붙이는 시약을 이용하는 검사는 NTproBNP, 뒷부분에 염색약을 붙이는 시약을 이용하는 검사는 CT, CproBNP검사가 됩니다.
앞 조각, 뒷 조각 마다 생리활성이 다르기 때문에 아주 정밀한 결과가 필요한 경우(급성 심부전으로 인한 평가 등) NT나 CT 검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심부전 건강검진 평가에서는, proBNP검사에 있어서는 비교적 널리 유통되는 NT조각을 지표로 많이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