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AI로 관세환급의 사전예측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과거의 해당 기업 관세 환급 패턴을 기초 기반으로 해서 인공지능이 사전에 관세 환급 가능성을 예측해서 안내를 잘해줄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가능합니다. 다만 과거에 해당 기업이 잘못된 환급을 받고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일단 AI에게 올바른 환급을 학습시키고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점검하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문제가 없다면 추가적으로 기업의 과거 데이터를 학습시켜 이를 따라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시간 / 비용이 상당부분 소요될 수 있는 점 고려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 환급은 기업별로 수출입 품목 구조나 원재료 사용 내역 환급 방식에 따라 꽤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래서 과거 데이터를 쌓아두면 일정한 패턴을 찾을 수 있는 건 사실입니다. 인공지능이 매출 규모나 HS코드별 환급액 추이 원산지별 투입 구조 같은 걸 학습한다면 사전 예측을 어느 정도 해주는 건 가능합니다. 다만 법령 개정이나 세관의 행정지침 변경이 생기면 과거 패턴만으로는 오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 환율이나 원재료 가격 변동이 환급액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요. 그러니까 AI가 참고 지표로는 유용하겠지만 최종 판단은 여전히 실무자가 제도 변화와 실제 데이터를 맞춰보면서 확인해야 하는 구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가능합니다만 데이터가 깔끔해야 합니다. 품목분류 HS, 과세가격, 신고번호, 환급사유코드, BOM, FTA 적용 여부 같은 필드를 ERP와 수입신고 이력에서 묶어 시계열+분류 모델로 학습하면 환급 가능성, 예상액, 소요기간을 미리 띄울 수 있습니다. 현장에선 부가세 조정, 환입대체투입, 원재료 가격변동이 변수라 피처로 넣어줘야 하고, 모델 성능 평가는 월별 정답데이터로 재학습해야 합니다. 대충 찍는 모델은 금방 깨지니 예외 루틴과 서류 체크리스트 자동생성까지 붙이면 쓸만한 체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