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올라잇
올라잇

우리나라 증시만 지금 잘안오르는 이유가?

미국 일본 대만 호주 프랑스 이런 나라들은 지금 증시가 신고가라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코스피는 아직 pbr1될까말까 수준이고 코스닥은 엄청 빠져있는데

왜 우리나라만 이럴까요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국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긴 한거 같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아직도 오너기업이 많은 관계로 대주주가 상속관련 세금문제로 주가가 상승하는걸 싫어합니다 그래서 주주환원정책등이 부족한 이유가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안오르는 큰 원인 같습니다

  • 한국 시장만의 특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주친화

    정책이 부진하고 내년 금투세 시행으로 인해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오예에에~

    저도 현 상황이 매우 안타깝습니다.

    오늘 자 뉴스에 따르면 현재 코스피 에 투자하는 많은 개미들이 정부의 "공매도"허용과 현재 개미투자자의 큰 반발에 부딪힘에도 불구하고 강행 하고 있는 "금투세" 내 년 시행 이슈로 단기간에 거의 "2조"에 해당하는 자금이 코스피에서 빠져나갔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정부에서 과연 무엇이 투자자를 위한 길인지 현명한 판단을 했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 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보통 우리나라 증시는 미국 증시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요. 미국 증시가 오르는 것과 달리, 우리 증시는 제자리걸음입니다.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국 경제에 대한 걱정 때문이입니다. 중국 경제가 올해 작년보다 덜 성장할 거라는 말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제를 이끄는 반도체 기업은 중국 의존도가 높아서 영향을 더 크게 영향을 받고, 똑같은 반도체 업종도 미국 반도체 기업 주가는 팍팍 오르는데, 한국 반도체 기업 주가는 그렇지 못하고 있습니다.

  • ✅️ 우리나라의 경우 우선 주식 투자에 국민들이 부정적이고, 법적, 제도적으로 지배주주(오너 등)가 소액주주의 이익을 침해해도 처벌받지 않게 되어있어서 투자 매력도가 매우 낮은 결과 우리나라 증시만 오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선 환율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은 외국인이 약 30%를 차지하는데, 이들은 달러를 원화로 바꿔서 우리나라주식에 투자합니다. 근데 투자후 원화가치가 낮아져 주식과 관계없이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강달러시기에는 신흥국주식이 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약달러세로 돌아오면 분위기가 좋아질수 있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미국주식이 새로이 각광받는 사업을 잘 준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글로벌트렌드는 ai, 로봇, 블록체인 등입니다. 이런 사업을 미국상장기업들 특히 빅테크들이 잘 준비하고 있고 기대감을 보이는 정보들도 많이 나오고 있어서 그런거 같습니다.

    일본은 디지털화로의 전환이 기대되면서 그런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주주의 이익을 생각하지 않고 오너 일가의 이익을 위한 정책을 짜기 때문에

      주가는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고 오히려 주가를 내려 상속세를 절세 하는 등의 행위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오너 입장에서는 주가가 높아서 좋을 것이 없기 때문에 주가 부양을 위해 배당을 늘리거나

      자사주 소각을 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 따라서 같은 밸류에 놓여있는 기업이라도 한국에 상장하면 같이 싸잡아서 저밸류를 받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는 너무 낮은 주주환원율, 선진화 되지 못한 주식시장, 지배구조 문제 등의 이유로 계속 저평가를 받고 있는 것 같으니 참고하세요.

  • 각 나라의 증시 상황은 그 나라의 경제 상황, 정치적 요인, 기업 실적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 한국의 증시가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PBR이 낮거나 코스닥이 하락세를 보이는 이유는 한국 경제의 특성, 기업 구조, 정책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