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붉은안경곰135
붉은안경곰135

기초생활수급 의료급여와 개인의료실비

이번에 의료급여나 차상위본인부담감경 신청하려는데

이게 의료실비보험이랑 비슷하더라고요. 물론 비급여는 안된다는 차이가 있긴 해도...사실 비급여는 크게 중요하지 않지 않나요? 대부분 급여로 커버가 돼서...

경제상황이 많이 어려울 땐 의료급여(차상위포함)랑 성격이 비슷한 실비보험료는 가급적 아끼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 탈수급 할 때까지는 의료급여를 받고 탈수급 시점 즈음에 실비를 넣어보는 게 맞지 않나 싶은데

걱정이 있다면 예를 들어 2024에 의료급여 받고

2027에 탈수급하는데

2025에 암에 걸린다

그러면 암 이후 5년간은 가입 못하니까

2028 2029 2030 은 보험 없이 붕 뜨는 거라 걱정이 되고...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그냥 실비는 될 때 지금이라도 가입하는 게 좋을까요?

물론 전 유병자실비만 되겠지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저는 유공자라서 병원비가 거의 공짜입니다.

      그런데도 실비 가지고 있죠.

      혹 질병 발생하면 나중에 다시 가입 못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비급여치료 많습니다.

      mri도 비급여입니다. 도수치료도 그렇구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배은정 보험전문가입니다.

      유병자 실비는 되도록 가입하는것 보다 다른쪽으로 보장 준비 하는것이 좋아요.

      전문가와 상담을 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자잘한 사고에 대해서는 급여치료가 몯 가능은 하겠지만,

      중질환이나 사고에 대해서 비급여 치료를 받지 않으면

      본인이 고생 합니다.

      이로서 실비보험은 의무적으로 가지고 있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판매중인 4세대실손보험은 가입자의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보험료가 저렴합니다. 가정대로하면 유병자실손보다 보장이 좋으니 미리가입하는것도 방법입니다.